"한국표준건강분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삽입, 정보상자 정리, 법령 정리 및 추가(한국표준건강분류), 외부링크 정리 및 추가)
(법령정보 - 통계법 시행령 입력)
 
42번째 줄: 42번째 줄:
 
<big>'''1. 법령'''</big>
 
<big>'''1. 법령'''</big>
 
*[https://www.law.go.kr/법령/통계법/(20408,20240326) 통계법 22조]
 
*[https://www.law.go.kr/법령/통계법/(20408,20240326) 통계법 22조]
 +
*[https://www.law.go.kr/법령/통계법시행령/(20240119,34085,20240102)/제35조 통계법 시행령 제35조~제37조]
 
*[https://www.law.go.kr/행정규칙/한국표준건강분류/(2016-419,20161230) 한국표준건강분류](행정규칙)
 
*[https://www.law.go.kr/행정규칙/한국표준건강분류/(2016-419,20161230) 한국표준건강분류](행정규칙)
  
78번째 줄: 79번째 줄:
 
*[https://kssc.kostat.go.kr 통계분류포털]
 
*[https://kssc.kostat.go.kr 통계분류포털]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kssc/common/ClassificationContent.do?gubun=1&strCategoryNameCode=027&categoryMenu=007&addGubun=no 통계분류포털 한국표준건강분류 해설서]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kssc/common/ClassificationContent.do?gubun=1&strCategoryNameCode=027&categoryMenu=007&addGubun=no 통계분류포털 한국표준건강분류 해설서]
 +
*[https://www.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법령/통계법/(20408,20240326) 국가법령정보센터 통계법]
 
*[https://www.law.go.kr/법령/통계법/(20408,20240326) 국가법령정보센터 통계법]
 +
*[https://www.law.go.kr/법령/통계법시행령/(20240119,34085,20240102) 국가법령정보센터 통계법 시행령]
 
*[https://www.law.go.kr/행정규칙/한국표준건강분류/(2016-419,20161230) 국가법령정보센터 한국표준건강분류](행정규칙)
 
*[https://www.law.go.kr/행정규칙/한국표준건강분류/(2016-419,20161230) 국가법령정보센터 한국표준건강분류](행정규칙)
  

2024년 12월 17일 (화) 16:55 기준 최신판

한국표준건강분류
영문제목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약어KCF
발행기관통계청
발행연도2016
제공형식온라인(Online) 및 PDF, 인쇄본
KOS유형분류체계
BARTOChttp://bartoc.org/en/node/20101
통계분류포털 - 한국표준건강분류 경로(20241217)
통계분류포털 - 한국표준건강분류 소개(20240910)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한국표준건강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KCF)는 KCF의 전반적인 목적은 건강과 건강관련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통일된 표준 언어와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KCF는 건강과 건강관련 웰빙(well-being)상태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교육, 노동)를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KCF는 건강영역(health domains)과 건강 관련 영역(health-related domains)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KCF 영역은 신체, 개인, 사회의 관점에서 (1) 신체기능과 구조, (2) 활동과 참여2)라는 두 개의 기본 분류 목록을 통해 기술된다.


1. 연혁

  • 2016년 12월 30일 제정(시행일 2018년 1월 1일)


2. 분류 영역

KCF는 인간의 기능 수행과 제약 상황을 기술하고 이 정보를 조직화하는 틀을 제공한다. KCF를 통해 이 정보는 의미 있고 상호 관련되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조화된다. KCF는 정보를 두 가지 부분으로 체계화한다. 제1부는 기능수행(Functioning)과 장애(Disability), 제2부는 배경요인(Contextual factors)을 다룬다. 그리고 각각 두 개의 구성요소가 있다.

  • '기능수행(functioning)과 장애(disability)' 의 구성요소: 신체(body) 요소는 두 가지 분류, 즉 신체계통의 기능 분류와 신체구조 분류로 구성된다. 두 분류에 해당하는 장(chapter)은 신체계통에 따라 체계화되어 있다. 활동과 참여(activities and participation) 요소는 개인 및 사회적 관점에서 기능수행의 측면을 나타내는 전체 영역을 다룬다.
  • '배경요인(contextual factor)' 의 구성요소: 환경요인(environmental factors) 목록이 배경요인의 첫 번째 구성요소다. 환경요인은 기능수행과 장애의 모든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이 직면한 환경에서부터 일반적 환경의 순서로 체계화되어있다. 개인요인(personal factors) 역시 배경요인의 구성요소이나 개인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차이가 크기 때문에 KCF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다.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1. 법령


2. 제안요청서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보건-보건의료
KDC6 510 의학
DDC23 610 Medicine and health
ILC2 vm health care; healthcare [medicine]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아직 확인되지 않음

외부링크[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