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산업분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문제목 | Korea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
---|---|
약어 | KSIC |
발행기관 | 통계청 |
발행연도 | 1963 |
제공형식 | 온라인(Online) 및 PDF, 인쇄본 |
KOS유형 | 분류체계 |
BARTOC | http://bartoc.org/en/node/20056 |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한국표준산업분류 (Korea Standard Industry Code, KSIC)는 생산단위(사업체단위, 기업체단위 등)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것이다. 이러한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산업관련 자료의 수집, 제표, 분석 등 통계목적을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통계법에서는 산업통계 자료의 정확성, 비교성을 위하여 모든 통계작성기관이 이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1. 연혁
- 1963년 제정
- 1964년 제2차, 제3차 개정
- 1970년 제4차 개정
- 1975년 제5차 개정
- 1984년 제6차 개정
- 1991년 제7차 개정
- 1998년 제8차 개정
- 2000년 제9차 개정
- 2017년 제10차 개정
2. 분류목적
-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생산단위(사업체단위, 기업체단위 등)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이다.
- 이러한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법에 의거하여 통계자료의 정확성 및 국가 간의 비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엔에서 권고하고 있는 국제표준산업분류를 기초로 작성한 통계목적분류이다.
-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목적 이외에도 일반 행정 및 산업정책관련 법령에서 적용대상 산업영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준용되고 있다.
3. 생산단위의 산업결정방법
- 생산단위의 산업 활동은 그 생산단위가 수행하는 주된 산업 활동(판매?제공되는 재화 및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결정
- (산업결정 우선순위) 주된 산업 활동은 산출물(재화 또는 서비스)에 대한 부가가치(액)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부가가치의 측정이 어려운 경우 산출액 또는 종업원 수 및 노동시간, 임금, 설비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
4. 산업분류의 분류원칙
- 생산단위는 산출물뿐만 아니라 투입물과 생산공정 등을 함께 고려하여, 그들의 활동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항목에 분류합니다.
- 산업활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활동단위의 주된 활동에 따라서 분류하며, 활동단위는 대분류를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중, 소, 세, 세세분류 단계 항목을 결정합니다.
5. 분류구조 및 부호체계
- 분류구조는 대분류(1자리, 영문대문자), 중분류(2자리 숫자), 소분류(3자리 숫자), 세분류(4자리 숫자). 세세분류(5자리 숫자)의 5단계로 구성
- 분류는 대분류 21개, 중분류 77개, 소분류 232개, 세분류 495개, 세세분류 1,196개로 구성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1. 법령
- 통계법 22조
- 통계법 시행령 제35조~제37조
- 한국표준산업분류(행정규칙)
- 경비업법 시행령
- 고용보험법 시행령
-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 고용보험ㆍ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관계 성립신고 등의 촉진을 위한 특별조치법
2. 제안요청서
- 생활산업 표준산업분류 체계 개편을 위한 기본 연구 (RFP-1-086)
- 광업제조업조사 품목분류 개편정비 연구 사업(RFP-2-024)
- 광업제조업조사 품목분류 정비 연구 사업 (RFP-2-137)
- 스마트 기획을 위한 분류체계 매핑 및 특허·경제성 분석 방법론 연구_재공고 (RFP-2-151)
- 국내 탄소소재 부품산업의 통계조사 및 산업현황을 반영한 특수분류체계 개선 연구 용역 (RFP-3-082)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 산업·통상·중소기업-산업기술지원 | |
---|---|---|
KDC6 | 323 | 산업경제, 일반 |
DDC23 | 338 | Production |
ILC2 | vt | manufacturing; industrial production; large scale production |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아직 확인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