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영문제목 | K-Taxonomy Guidelines |
발행기관 | 환경부 |
발행연도 | 2021 |
제공형식 | |
KOS유형 | 분류체계 가이드 |
BARTOC | https://bartoc.org/en/node/20654 |

환경부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2021~2024)(20250210)

환경책임투자종합플랫폼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20250210)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K-Taxonomy Guidelines)은 환경부에서 2021년 4월 13일 자로 개정된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에 따라 수립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가이드라인이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녹색경제활동을 정의하는 지침서로써 녹색금융에 활용될 수 있다. 그 예시로 환경책임투자 지원 및 활성화를 위해 2020년 12월 발간된 환경부와 금융위원회의 ‘한국형 녹색채권 가이드라인’과 연계하여 녹색채권의 투자 대상 프로젝트에 적용될 수 있다. 녹색채권을 발행하는 기관들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진정한 녹색경제활동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투자자들의 신뢰를 증진할 수 있을것이다.
개정연혁
- 2021.12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 2022.12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 2023.08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영문판)
- 2024.12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인
기타 관련자료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판단 참고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판단 참고서입니다.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경제활동 해설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경제활동 해설서입니다.
- 녹색채권 안내서(가이드라인): 녹색채권 발행 시 준수해야 할 절차, 자금 사용처, 사업 평가, 자금관리, 사후보고 등을 규정한 안내서
- 한국형 녹색채권 가이드라인(2022.12): 2022.12월 개정된 '한국형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입니다.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법령
제안요청서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용 시범사업 공동협의체 운영(RFP-2-076)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 적용 시범사업 참여 모집 공고(RFP-2-004)
-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 고도화 연구(RFP-1-191)
- 녹색금융 분류체계 개발 연구(RFP-1-012)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및 최적가용기법 기준서 연계방안 마련 연구(RFP-2-084)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EU 택소노미 비교 연구(RFP-2-121)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4개 환경목표 경제활동 도출 연구(RFP-2-171)
기타
유튜브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 Q006 | 환경>환경일반 |
---|---|---|
KDC6 | 539 | 위생, 도시, 환경 공학 |
DDC23 | 354 | Administration of economy & environment |
ILC2 | nyah | abiotic components |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아직 확인되지 않음
외부링크[편집 | 원본 편집]
- BARTOC K-Taxonomy Guidelines
- 환경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2024.12)(PDF 다운로드 가능)
- 환경책임투자 종합플랫폼
- 환경책임투자 종합플랫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최신판)(바로보기, PDF 다운로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