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마을신앙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의 마을신앙
(20250206 표지모음) 국립민속박물관 - 한국의 마을신앙.png
영문제목Folk religion of villages in Korea
발행기관국립민속박물관
발행연도2007
제공형식PDF
KOS유형목록
BARTOChttps://bartoc.org/en/node/20645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 마을신앙(Folk religion of villages in Korea)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현재 전승되는 마을공동체 신앙에 대하여 조사한 것이다. 산업화, 도시화, 이주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마을신앙은 빠르게 사라지고, 대도시를 비롯한 지역의 마을 공동체에서는 그 규모는 축소되고, 형식은 간략하게 바뀌어 가지만, 여전히 마을신앙이 전해오고 있다. 이는 마을신앙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을신앙이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등에 관해 관찰하고, 기록할 필요가 있다.

2007년에 국립민속박물관은 2005년~2006년에 걸쳐 전국적 단위로 한국의 마을신앙을 조사한 현장 조사보고서를 냈다. 그리고, 2022년부터 국립민속박물관은 서울•경기•인천권, 경상권, 전라권, 충청권, 강원권, 제주권 등 전국을 여섯 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권역별 마을신앙 조사를 시행하여 기록하고 있다. 조사보고서에 수록된 마을신앙 현황조사표 기록을 통해 시간에 따른 마을신앙의 지속여부와 소멸 여부를 알 수 있다.


한국의 마을신앙 발간 현황

2007 전국

2022 충청권

2023 전라•제주권

2024 경상권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아직 확인되지 않음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G003 문화체육관광>문화예술
KDC6 388 민속학
DDC23 398 Folklore
ILC2 raɭ rites; practices; worship; uses; habits; ceremonies; liturgies; divine service
sykk Korean civilization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 마을신앙 현황 조사보고서 (2007)

한국의 마을신앙(충청권) 조사보고서 (2022)

한국의 마을신앙(전라•제주권) 조사보고서 (2023)

한국의 마을신앙(경상권) 조사보고서 (2024)


외부링크[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