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재료 분류체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문제목 | Classification of Materials for Medical Treatment |
---|---|
발행기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발행연도 | 확인불가 |
제공형식 | 온라인(Online) |
KOS유형 | 분류체계 |
BARTOC | http://bartoc.org/en/node/20115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2017~2024)(20250212)

의료기기산업정보 종합정보시스템 -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2024)(20250212)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치료재료 분류체계(Classification of Materials for Medical Treatment)는 사용목적 용도(기능) 등 품목별 특성을 반영하여 가격산정 및 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분류이며 치료재료 코드체계는 9자리의 코드로 구성된다. 치료재료 분류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하여 대분류는 용도와 기능, 중분류는 형태·재질·규격·사용부위·사용방법, 소분류는 각각의 공급자의 제품(품명, 제조·수입업소명) 으로 구분하여 분류한다
명칭 | 대분류군 | 중분류(품목군) | 소분류 | ||||||
---|---|---|---|---|---|---|---|---|---|
코드자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코드예시 | B | 1 | 0 | 0 | 1 | 0 | 0 | 1 | E |
자동봉합기 | Linear Stapler | 0000000 | 허가
초과 | ||||||
의미 |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른 구분 | 기능, 용도, 형태, 재질, 규격 등에 따른 기준 | 제품별 구분 |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치료재료 분류체계는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2장에 수록된다.
예시) 2017.12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 목차 중 일부
제2장 치료재료 분류체계 가이드
1. 분류체계 개요
2. 분류체계 세부현황
3. 분류(품목군)별 세부설명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발간현황
- 2017.12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 2019.03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 2020.05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 2021.11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 2022.12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 2023.12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 2024.12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제안요청서
- 치료재료 분류체계 개편에 관한 연구(재공고)(RFP-1-117)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 H003 | 보건>보건의료 |
---|---|---|
KDC6 | 510 | 의학 |
DDC23 | 610 | Medicine and health |
ILC2 | we | medical equipments |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외부링크[편집 | 원본 편집]
- BARTOC Classification of Materials for Medical Treatment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2024.12) (원문링크)
- 의료기기산업 종합정보시스템
- 의료기기산업 종합정보시스템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2024)(PDF 다운로드)
- ↑ 2024년 치료재료 건강보험 가이드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