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상권) 업종분류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상가(상권) 업종분류
영문제목Commercial District Business Type Classification
발행기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발행연도2023
제공형식xlsx
KOS유형분류체계
BARTOChttp://bartoc.org/en/node/20591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상가(상권) 업종분류(Commercial District Business Type Classification)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제공하는 상권정보 시스템의 분류코드로, 상권, 경쟁, 입지, 수익 등을 분석해 창업 및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무료로 제공한다. 해당 분류정보는 시스템 내 알림정보에서 엑셀 파일로 확인 가능하며,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나뉘며 소분류 단위로 검색이 이루어진다. 이 분류코드는 한국표준산업분류 10차의 분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나, 업종분류 정제에 따라 상권업종분류 연계표와 상이할 수 있다.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소상공인법) 제13조 제1항에 따르면 상권정보시스템에 관한 규정이 제시되어 있다.

①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소상공인의 입지 및 업종 선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권(商圈)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이하 “상권정보시스템”이라 한다)을 구축ㆍ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17. 7. 26.>.

참고로 2024년 11월에 상권정보시스템 플랫폼 명칭도 빅데이터플랫폼 소상공인365로 변경되었으며, 2025년 1월에는 상권정보시스템 업종분류도 빅데이터플랫폼 상가(상권)정보 업종분류로 변경되었다. 단, 247개의 업종분류 코드는 동일하다.

*연혁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법령


제안요청서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J006 산업·통상·중소기업>산업진흥·고도화
KDC6 326 상업, 교통, 통신
DDC23 658 General management
ILC2 uak trade; commerce; exchangetrade; commerce; exchange; market [marketing]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외부링크[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