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산업분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문제목 | Classification of Advertising Industry |
---|---|
발행기관 | 한국문화정보원 |
발행연도 | 확인불가 |
제공형식 | xlsx |
KOS유형 | 분류체계 |
BARTOC | http://bartoc.org/en/node/20217 |
파일 | 파일:광고산업분류.xlsx |

문화셈터 - 광고 산업분류(20240919)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광고산업분류(Classification of Advertising Industry)는 광고산업 규모 추정과 통계의 일관성을 위해 마련된 분류체계로, OECD 및 UNESCO 기준을 참조하고 국내 산업 특성을 반영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이 분류는 광고 제작, 기획, 대행 등 핵심광고산업과 이를 지원하거나 관련된 산업을 포함하는 포괄적 가치사슬 기반의 체계를 제공합니다.
(위 내용의 일부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지원을 받아 작성한 요약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목적 및 배경
-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광고산업 규모 추정을 위한 방안 마련
- 관련 사업체 통계조사의 분류 및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 모집단 대표성이 취약함
- 실제 생산하는 통계의 광고산업분류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가 연계되지 않음
※ 관련산업 통계생산을 위해 한국문화정보원에서 만든 분류체계로서, 공식적으로 제정된 분류는 아님
2. 근거
- OECD(콘텐츠미디어산업분류)와 UNESCO(2009 UNESCO Framework for Cultural Statistics)가 작성한 국제기준 중 광고분야를 참조하고국내산업의 특성을 반영함
3. 포괄범위
- 광고산업의 제작·인프라·유통·서비스의 가치사슬 활동에 기반한 포괄영역
4. 광고산업분류(포괄영역 및 정의)
- 핵심광고산업: 광고제작, 광고기획, 광고대행 및 광고서비스 등 광고산업에 전적으로 종사하는 주요 산업
- 상호의존 광고산업: 광고제작 장비산업, 관련 조사업체 등 광고산업을 활성화하는데 상호간에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산업
- 부분 광고산업: 부분적으로 광고산업에 관여하며 경제적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광고에 기인하는 요소만 발췌
- 광고 지원산업: 광고산업의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부수적인 업무를 지원하는 산업 (핵심영역에 포함되지 않음)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아직 확인되지 않음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 G003 | 문화체육관광>문화예술 |
---|---|---|
KDC6 | 325 | 경영 |
DDC23 | 659 |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
ILC2 | uai | advertising |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문화셈터 - 산업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