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 역사문화자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분류체계 및 메타데이터
영문제목 | Digital Archiv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adata of Gay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
---|---|
발행기관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
발행연도 | 2020 |
제공형식 | PDF, e-pub |
KOS유형 | 분류체계 메타데이터 스키마 |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가야 역사문화자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분류체계 및 메타데이터(Digital Archiv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adata of Gay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는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에서 2020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가야 역사문화자원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분류체계와 메타데이터 구조이다. ‘가야역사문화자원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길라잡이’ 제3장(pp. 43-90)에 수록되어있다.
가야역사문화자원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길라잡이
초록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에서 2020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가야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아카이브 DB 및 활용시스템 구축 사업>을 소개하고, 구축 방법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안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책자는 「Ⅰ. 디지털 아카이브」, 「Ⅱ. 가야 역사문화자원 현황」, 「Ⅲ.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기준」 등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Ⅰ. 디지털 아카이브」에서는 아카이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개념 및 특징을 살펴보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Ⅱ. 가야 역사문화자원 현황」에서는 가야 역사문화자원의 종류와 특성을 살펴 보고자한다. 「Ⅲ.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기준」은 본 책자의 핵심 내용으로, 가야 역사문화자원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분류체계의 수립과 메타데이터 항목의 분류기준을 소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분류체계와 메타데이터 항목에 따른 이미지 파일 생성 절차 및 폴더 생성 규칙을 살펴보면서 가야 역사문화자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길라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부록」에는 2020~2023년까지 DB 구축된 발굴조사보고서 목록을 수록하였다.
목차
시작하며 디지털 아카이브 작업 흐름도
Ⅰ. 디지털 아카이브
- 아카이브의 개념
- 아카이브의 구축 형태
- 디지털 아카이브 특징과 이점
-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사례
Ⅱ. 가야 역사문화자원의 현황
- 문헌사료
- 발굴자료
- 연구자료
Ⅲ.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기준
- 분류체계
- 메타데이터
- 이미지 제작
- 데이터 검수
끝으로 부록[1]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제안요청서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 G002 | 문화체육관광>국가유산 |
---|---|---|
KDC6 | 911 | 한국 |
028 | 기록관리 | |
DDC23 | 951 | China and adjacent areas |
025 | Operations of libraries and archives | |
ILC2 | wWy | works; cultural heritage |
sykk | Korean civilization |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아직 확인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