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직업분류 개정 1차 연구 사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infobox |title = 한국표준직업분류 개정 1차 연구 사업 |label1 = KOS 유형 |data1 =분류체계 |label2 = 관련 KOS |data2 = 한국표준직업분류 |label3...)
 
27번째 줄: 27번째 줄:
 
한국표준직업분류 개정 연구
 
한국표준직업분류 개정 연구
  
'''1. 사업배경'''
+
'''사업배경'''
  
 
1) 국제표준직업분류* 전면 개정(’28년 예정)에 대비하여 '''해외 직업분류 개정 동향 연구''' 필요
 
1) 국제표준직업분류* 전면 개정(’28년 예정)에 대비하여 '''해외 직업분류 개정 동향 연구''' 필요

2024년 10월 7일 (월) 09:21 판

한국표준직업분류 개정 1차 연구 사업
KOS 유형분류체계
관련 KOS한국표준직업분류
수요기관통계분류포털
공고기관조달청 대전지방조달청
사업목적KOS 개정
사업년도2021
사업기간6개월
사업예산65,000천원
사업IDRFP-2-178

사업 개요

사업명

한국표준직업분류 개정 연구

사업배경

1) 국제표준직업분류* 전면 개정(’28년 예정)에 대비하여 해외 직업분류 개정 동향 연구 필요

  • (ISCO)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08
*국제분류(ISCO-08) 분류 구조 및 기준 등 개정 내용을 현행 국내 분류 기준과 비교‧분석 필요

◦ 최신 해외 직업분류 개정 관련 문서 번역‧해설 및 연구 추진

2) 국내‧외 노동시장의 직업구조 변화를 반영한 한국표준직업분류 8차 개정 착수 준비

◦ 해외 노동시장 직업구조 및 동향을 반영한 개정작업
◦ 국내 ICTs, AI 기반 기술 융‧복합 및 신성장 직종, 디지털 플랫폼에서 출현하는 신직업 사례 수집 및 직무분석 필요
◦ 국내 법령•제도와 직업분류 기준의 연관성 검토 필요

3)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개정 초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필요

◦ 직업분류 대분류 분류체계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국내 실정에 최적화된 개정안 도출을 위한 직업분류 연구 필요

  • (분류) 대분류(1~5) 포괄범위 쟁점사항 및 체계의 타당성 검토
  • (활용) 개정 연구결과를 기초로 직업분류 8차 개정 초안 마련 및 관계 정부부처 및 기관에 공유


사업목적

◦ 한국표준직업분류 8차 개정 착수 준비를 위해 해외 개정동향 분석 필요
◦ 산업구조 변화 등 국내 노동시장 및 직업 현황 분석 필요
◦ ICTs, AI 기반 기술 융‧복합 및 신성장 직종, 디지털 플랫폼의 신직업이 출현함에 따라 사례수집 및 분석
◦ 분류 개정을 위해 現 직업분류 대분류 포괄범위 및 분류체계 타당성의 전반적인 검토 필요

사업기간 및 예산

- 사업기간 : 계약체결일 ∼ 계약체결일로부터 6개월

- 소요예산 : 65,000천원(부가세 포함)

(제안요청서)한국표준직업분류 개정 1차 연구 사업


사업 내용

과업 내용

1. 국제표준직업분류(ISCO) 검토 및 해외 개정 동향 연구

◦ 국제표준직업분류 구조, 항목, 기준 및 용어 등을 검토하고, 현행 국내 분류기준과 비교‧분석
◦ 해외 국가의 직업분류* 개정 관련 문서 번역, 내용을 검토하여 국내환경에 최적화된 직업분류 항목 발굴

*영국 SOC 2020(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20), 미국 SOC 2018, 캐나다 NOC 2016 version 3.1(National Occupational Classification) 등


2. 국내‧외 노동시장 현황 및 직업 동향 연구

◦ (해외) 해외 노동시장 직업구조 및 동향 파악 연구
◦ (국내) ICTs, AI 기반 기술 융‧복합 및 신성장 직종, 디지털 플랫폼에서 출현하는 신직업 사례 수집 및 직무분석
◦ (정책 ‧ 제도) 국내 법령‧제도와 직업분류 기준의 연관성 검토

※ 의료‧교육‧법률 집행 등의 업무를 수행할 경우 국가자격 취득이 필요할 수 있음


3.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개정 초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 (분류검토) 대분류(1~5) 포괄범위 쟁점사항 및 체계의 타당성 검토

  • 대분류간 쟁점사항, 분류체계 타당성, 분류간 세분화 또는 통합이 필요한 분류체계 검토

◦ (해설서) 개요(총설), 용어 정의, 내용 설명, 연계표* 마련

*국제분류(ISCO-08)와 국내분류 개정안의 연계표 포함

◦ (전문가 검토) 직업분야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사례분석 및 집단토의 및 자문 실시

  • 분야별(과학기술, 문화예술 등) 전문가, 신직업 연구 전문가 등을 구성하여 토의 및 자문


4. 통계청 사회분류 발전 포럼 등에서 직업분류 개정 관련 주제 발표

◦ 통계청 사회분류 발전 포럼, 사회분류자문위원회 등에서 직업분류 개정 연구사업에 대한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등 연구진 적극 참여


관련 정보

1. KOS 메타정보


2. 관련 RFP


3. 결과보고서


분류 정보

BRM 사회복지-고용노동
KDC6 321 경제각론
DDC23 331 Labor economics
ILC uatbp minus liability; expenditure; cost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