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문표제 수정(대소문자), 외부링크 및 출처 수정 및 추가)
 
1번째 줄: 1번째 줄: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의생활'''(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Clothing)은 의생활을 크게 모자, 상의, 하의, 겉옷, 속옷, 대, 신발, 장신구, 머리모양, 화장, 일습, 직물, 염색, 무늬, 용어로 구분하였다. 사전은 발간사와 발간개요, 일러두기와 목차, 그리고 본문과 색인으로 구성하였다. 표제어 배열은 가나다순으로 하였으며, 집필자란을 마련하여 필자별 표제어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
{{infobox
 +
|title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
 +
|label2 = 영문제목
 +
|data2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Clothing]]
 +
|label3 = 약어
 +
|data3 =
 +
|label4 = 저자
 +
|data4 =
 +
|label5 = 발행기관
 +
|data5 = [https://www.nfm.go.kr/home/index.do 국립민속박물관]
 +
|label6 = 발행연도
 +
|data6 = 2017
 +
|label7 = 제공형식
 +
|data7 = 온라인(Online) 및 PDF, 인쇄본
 +
|label8 = 파일
 +
|data8 =
 +
|label9 = KOS유형
 +
|data9 = 백과사전
 +
|label10 = BARTOC
 +
|data10 = http://bartoc.org/en/node/20151
 +
}}
 +
 
 +
== KOS 소개==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의생활'''(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Clothing)은 의생활을 크게 모자, 상의, 하의, 겉옷, 속옷, 대, 신발, 장신구, 머리모양, 화장, 일습, 직물, 염색, 무늬, 용어로 구분하였다. 사전은 발간사와 발간개요, 일러두기와 목차, 그리고 본문과 색인으로 구성하였다. 표제어 배열은 가나다순으로 하였으며, 집필자란을 마련하여 필자별 표제어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
 
 +
 
 +
==관련정보 ==
 +
아직 확인되지 않음
 +
 
 +
 
 +
==분류정보==
 +
{| class="wikitable"
 +
|-
 +
![[:분류:BRM|BRM]]
 +
| colspan="2" |[[:분류:문화체육관광-문화예술(BRM)|문화체육관광-문화예술]]
 +
|-
 +
![[:분류:KDC|KDC6]]
 +
|[[:분류:381(KDC)|381]]||의식주의 풍습
 +
|-
 +
! rowspan=2 | [[:분류:DDC|DDC23]]
 +
|[[:분류:391(DDC)|391]]||Costume and personal appearance
 +
|-
 +
|[[:분류:746(DDC)|746]]||Textile arts
 +
|-
 +
! rowspan=2 | [[:분류:ILC|ILC]]
 +
| [[:분류:wf(ILC)|wf]] || clothing; dress; garments; attire; apparel
 +
|-
 +
| [[:분류:sykk(ILC)|sykk]] || Korean civilization
 +
|}
 +
 
 +
 
 
==같이보기==
 
==같이보기==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6번째 줄: 56번째 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
  
==출처==
+
 
 +
==외부링크==
 +
*[http://bartoc.org/en/node/20151 BARTOC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Clothing]
 
* [https://folkency.nfm.go.kr/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https://folkency.nfm.go.kr/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https://folkency.nfm.go.kr/kr/dic/61/summary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온라인)
 
* [https://folkency.nfm.go.kr/kr/dic/61/summary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온라인)
12번째 줄: 64번째 줄:
 
* [https://folkency.nfm.go.kr/api/file/download/dictionary/122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Ⅱ](PDF 다운로드)
 
* [https://folkency.nfm.go.kr/api/file/download/dictionary/122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Ⅱ](PDF 다운로드)
  
==외부링크==
 
*[http://bartoc.org/en/node/20151 BARTOC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Clothing]
 
  
 +
[[category: 지식조직체계]]
 +
[[Category: 백과사전]]
 +
[[Category: 국립민속박물관]]
 +
 +
[[Category: 381(KDC)]]
 +
[[Category: 391(DDC)]]
 +
[[Category: 746(DDC)]]
 +
[[Category: wf(ILC)]]
 +
[[Category: sykk(ILC)]]
  
[[category:지식조직체계]]
+
[[Category: 문화체육관광-문화예술(BRM)]]

2025년 1월 19일 (일) 13:26 기준 최신판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
영문제목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Clothing
발행기관국립민속박물관
발행연도2017
제공형식온라인(Online) 및 PDF, 인쇄본
KOS유형백과사전
BARTOChttp://bartoc.org/en/node/20151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의생활(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Clothing)은 의생활을 크게 모자, 상의, 하의, 겉옷, 속옷, 대, 신발, 장신구, 머리모양, 화장, 일습, 직물, 염색, 무늬, 용어로 구분하였다. 사전은 발간사와 발간개요, 일러두기와 목차, 그리고 본문과 색인으로 구성하였다. 표제어 배열은 가나다순으로 하였으며, 집필자란을 마련하여 필자별 표제어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아직 확인되지 않음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문화체육관광-문화예술
KDC6 381 의식주의 풍습
DDC23 391 Costume and personal appearance
746 Textile arts
ILC wf clothing; dress; garments; attire; apparel
sykk Korean civilization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외부링크[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