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재화 및 서비스 용도분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보상자 표기 수정, 영문제목-약어 분리, 관련정보 (아직 확인되지 않음), 같이보기 (아직 확인되지 않음), 외부링크 표제 정리 및 해설서 추가)
2번째 줄: 2번째 줄:
 
|title = [[재화 및 서비스 용도 분류]]
 
|title = [[재화 및 서비스 용도 분류]]
 
|label2 = 영문제목
 
|label2 = 영문제목
|data2 =  Classification by Broad Economic<br>Categories, BEC
+
|data2 =  Classification by Broad Economic<br>Categories
 +
|label3 = 약어
 +
|data3 = BEC
 
|label4 = 저자
 
|label4 = 저자
 
|data4 =  
 
|data4 =  
|label5 = 발행처
+
|label5 = 발행기관
 
|data5 = [https://kostat.go.kr/ansk/ 통계청]
 
|data5 = [https://kostat.go.kr/ansk/ 통계청]
|label6 = 발행년
+
|label6 = 발행연도
 
|data6 = 1971
 
|data6 = 1971
 
|label7 = 제공형식
 
|label7 = 제공형식
19번째 줄: 21번째 줄:
 
}}
 
}}
  
== KOS 소개 ==
+
==KOS 소개==
 
'''재화 및 서비스 용도분류'''(Classification by Broad Economic Categories, '''BEC''')는 [[한국표준무역분류]](Standard Korean Trade Classification, SKTC), 한국관세 및 통계 통합 품목분류(Harmonized Commodity and Coding System of Korea, HS-K), [[한국 재화 및 서비스 분류]](Korean Central Product Classification, KCPC) 등에서 파악된 생산물별 최종 용도분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며, 이를 통해 경제활동 부문별 국제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 파악 가치사슬이란 재화 및 서비스 생산을 위해 원재료, 노동력, 자본 등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것을 말하며, 국제가치사슬(GVC)이란 가치사슬이 세계화되는 현상, 즉, 생산물 설계, 조달, 제조, 판매 등 단계가 여러 국가에 걸쳐 이루어지면서 특정 생산물 의 국적을 정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새로운 현상을 말한다.
 
'''재화 및 서비스 용도분류'''(Classification by Broad Economic Categories, '''BEC''')는 [[한국표준무역분류]](Standard Korean Trade Classification, SKTC), 한국관세 및 통계 통합 품목분류(Harmonized Commodity and Coding System of Korea, HS-K), [[한국 재화 및 서비스 분류]](Korean Central Product Classification, KCPC) 등에서 파악된 생산물별 최종 용도분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며, 이를 통해 경제활동 부문별 국제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 파악 가치사슬이란 재화 및 서비스 생산을 위해 원재료, 노동력, 자본 등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것을 말하며, 국제가치사슬(GVC)이란 가치사슬이 세계화되는 현상, 즉, 생산물 설계, 조달, 제조, 판매 등 단계가 여러 국가에 걸쳐 이루어지면서 특정 생산물 의 국적을 정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새로운 현상을 말한다.
 
, 재화흐름법 적용을 통한 국내총생산(GDP) 추계과정 등에도 활용되어 왔다.
 
, 재화흐름법 적용을 통한 국내총생산(GDP) 추계과정 등에도 활용되어 왔다.
25번째 줄: 27번째 줄:
  
 
'''1. 연혁'''
 
'''1. 연혁'''
*1971년 제정
+
* 1971년 제정
*1976년 제1차 개정
+
* 1976년 제1차 개정
*1984년 제2차 개정
+
* 1984년 제2차 개정
*1986년 제3차 개정
+
* 1986년 제3차 개정
*2002년 제4차 개정
+
* 2002년 제4차 개정
 
*2018년 제5차 개정
 
*2018년 제5차 개정
  
38번째 줄: 40번째 줄:
  
  
==관련정보 ==
+
==관련정보==
 
 
  
 +
아직 확인되지 않음
 
==분류정보==
 
==분류정보==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분류:BRM|BRM]]
+
![[:분류:BRM|BRM]]
| colspan="2" | [[:분류:산업·통상·중소기업-산업기술지원(BRM)|산업·통상·중소기업-산업기술지원]]
+
| colspan="2" |[[:분류:산업·통상·중소기업-산업기술지원(BRM)|산업·통상·중소기업-산업기술지원]]
 
|-
 
|-
! [[:분류:KDC|KDC6]]
+
![[:분류:KDC|KDC6]]
| [[:분류:323(KDC)|323]] || 산업경제, 일반
+
|[[:분류:323(KDC)|323]]||산업경제, 일반
 
|-
 
|-
! [[:분류:DDC|DDC23]]
+
![[:분류:DDC|DDC23]]
| [[:분류:338(DDC)|338]] || Production
+
|[[:분류:338(DDC)|338]]||Production
 
|-
 
|-
 
![[:분류:ILC|ILC2]]
 
![[:분류:ILC|ILC2]]
| [[:분류:uat(ILC)|uat]] || factors of production; resources; assets; inputs
+
|[[:분류:uat(ILC)|uat]]||factors of production; resources; assets; inputs
 
|}
 
|}
  
  
== 같이보기 ==
+
==같이보기==
 
 
 
 
== 외부링크 ==
 
* [https://kssc.kostat.go.kr 통계분류포털]
 
* [http://bartoc.org/en/node/20090 BARTOC]
 
 
 
  
 +
아직 확인되지 않음
 +
==외부링크==
 +
*[http://bartoc.org/en/node/20090 BARTOC Classification by Broad Economic Categories]
 +
*[https://kssc.kostat.go.kr 통계분류포털]
 +
*[http://kssc.kostat.go.kr/ksscNew_web/kssc/common/ClassificationContent.do?gubun=1&strCategoryNameCode=020&categoryMenu=007&addGubun=no 통계분류포털 재화 및 서비스 용도 분류 해설서]
  
 
[[category:지식조직체계]]
 
[[category:지식조직체계]]

2024년 12월 4일 (수) 06:00 판

재화 및 서비스 용도 분류
영문제목Classification by Broad Economic
Categories
약어BEC
발행기관통계청
발행연도1971
제공형식온라인(Online) 및 PDF
KOS유형분류체계
BARTOChttp://bartoc.org/en/node/20090

KOS 소개

재화 및 서비스 용도분류(Classification by Broad Economic Categories, BEC)는 한국표준무역분류(Standard Korean Trade Classification, SKTC), 한국관세 및 통계 통합 품목분류(Harmonized Commodity and Coding System of Korea, HS-K), 한국 재화 및 서비스 분류(Korean Central Product Classification, KCPC) 등에서 파악된 생산물별 최종 용도분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며, 이를 통해 경제활동 부문별 국제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 파악 가치사슬이란 재화 및 서비스 생산을 위해 원재료, 노동력, 자본 등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것을 말하며, 국제가치사슬(GVC)이란 가치사슬이 세계화되는 현상, 즉, 생산물 설계, 조달, 제조, 판매 등 단계가 여러 국가에 걸쳐 이루어지면서 특정 생산물 의 국적을 정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새로운 현상을 말한다. , 재화흐름법 적용을 통한 국내총생산(GDP) 추계과정 등에도 활용되어 왔다.


1. 연혁

  • 1971년 제정
  • 1976년 제1차 개정
  • 1984년 제2차 개정
  • 1986년 제3차 개정
  • 2002년 제4차 개정
  • 2018년 제5차 개정


2. 분류 체계

BEC 제5차 개정분류는 경제활동(대분류), 재화 및 서비스(중분류), 최종용도(소분류), 가공단계(세분류), 일반ㆍ특수 구분 및 내구성(세세분류) 체계로 구성된다.


관련정보

아직 확인되지 않음

분류정보

BRM 산업·통상·중소기업-산업기술지원
KDC6 323 산업경제, 일반
DDC23 338 Production
ILC2 uat factors of production; resources; assets; inputs


같이보기

아직 확인되지 않음

외부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