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표준지의류목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title = [[국가표준지의류목록]] | |title = [[국가표준지의류목록]] | ||
|label2 = 영문제목 | |label2 = 영문제목 | ||
− | |data2 = Korea Lichen Name Index | + | |data2 = [[Korea Lichen Name Index]] |
|label4 = 저자 | |label4 = 저자 | ||
|data4 = | |data4 = | ||
− | |label5 = | + | |label5 = 발행기관 |
|data5 =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mn=UKNA 국립수목원] | |data5 =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mn=UKNA 국립수목원] | ||
− | |label6 = | + | |label6 = 발행연도 |
|data6 = 2017 | |data6 = 2017 | ||
|label7 = 제공형식 | |label7 = 제공형식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data9 = | |data9 = | ||
}} | }} | ||
+ | [[파일:(20240617)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국가표준지의류목록.png|섬네일|263x263픽셀|[http://nature.go.kr/klni/SubIndex.do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국가표준지의류목록](20240617)]] | ||
== KOS 소개== | == KOS 소개== | ||
− |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이란 | + | '''국가표준지의류목록'''(Korea Lichen Name Index)이란 혼란스럽게 통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지의류의 이름을 표준화하고자 지의류별 전문연구자가 최근의 분류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의류명을 정리하고, 국립수목원과 한국분류학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를 검토, 심의하여 결정, 정리한 목록이다. |
우리나라 지의류에 대한 표준화되고 통일된 지의류목록(국명 및 학명)의 완성은 체계적인 국가지의류자원관리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지의류이름은 식물분류학의 연구 성과에 의해 정해지며, 라틴어의 학명의 선택방식에 따른 국제적인 규약과 함께 계속되는 식물의 연구에 따라 그 명칭이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지의류명도 존재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지의류의 이름도 해석상의 차이에 의해 잘못 기록되어 일부에서는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 우리나라 지의류에 대한 표준화되고 통일된 지의류목록(국명 및 학명)의 완성은 체계적인 국가지의류자원관리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지의류이름은 식물분류학의 연구 성과에 의해 정해지며, 라틴어의 학명의 선택방식에 따른 국제적인 규약과 함께 계속되는 식물의 연구에 따라 그 명칭이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지의류명도 존재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지의류의 이름도 해석상의 차이에 의해 잘못 기록되어 일부에서는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 ||
− | 이런 혼란스럽게 통용되고 있는 지의류의 이름을 표준화하고자 지의류별 전문연구자가 최근의 분류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의류명을 정리하고, 국립수목원과 한국분류학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를 검토, 심의하여 결정, 정리한 목록입니다. 이렇게 작성, 정리된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은 지속적으로 지의류명에 대한 최근의 자료를 반영하여 관리되며, 중앙 DB화 작업을 통해 인터넷상에서 첨부파일의 형태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됩니다. 이로서, 정부부처 및 관련 연구기관, 교육기관 등 일반 식물관련 전 분야에 걸쳐 작성된 통일된 지의류목록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 | 이런 혼란스럽게 통용되고 있는 지의류의 이름을 표준화하고자 지의류별 전문연구자가 최근의 분류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의류명을 정리하고, 국립수목원과 한국분류학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를 검토, 심의하여 결정, 정리한 목록입니다. 이렇게 작성, 정리된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은 지속적으로 지의류명에 대한 최근의 자료를 반영하여 관리되며, 중앙 DB화 작업을 통해 인터넷상에서 첨부파일의 형태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됩니다. 이로서, 정부부처 및 관련 연구기관, 교육기관 등 일반 식물관련 전 분야에 걸쳐 작성된 통일된 지의류목록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ref>[http://nature.go.kr/klni/lichens/introduce.do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소개]</ref> |
+ | |||
==관련정보 == | ==관련정보 == | ||
− | <big>''' | + | <big>'''기타자료'''</big> |
− | + | 신문기사 | |
* [https://www.yna.co.kr/view/AKR20170222067400060 국립수목원, 국내 첫 '국가표준 지의류 목록' 서비스] | * [https://www.yna.co.kr/view/AKR20170222067400060 국립수목원, 국내 첫 '국가표준 지의류 목록' 서비스] | ||
45번째 줄: | 47번째 줄: | ||
| [[:분류:579(DDC)|579]] || Collection & preservation of speciman | | [[:분류:579(DDC)|579]] || Collection & preservation of speciman | ||
|- | |- | ||
− | ![[:분류:ILC|ILC2]] | + | ! rowspan=2 | [[:분류:ILC|ILC2]] |
| [[:분류:ntsɭ(ILC)|ntsɭ]] || lichens | | [[:분류:ntsɭ(ILC)|ntsɭ]] || lichens | ||
+ | |- | ||
+ | | [[:분류:mpj(ILC)|mpj]] || mosses; bryophyta [bryology] | ||
|} | |} | ||
==같이보기 == | ==같이보기 == | ||
+ | |||
+ | '''[http://www.nature.go.kr/main/Main.do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국가표준목록''' | ||
+ | |||
+ | * [[국가표준식물목록]] | ||
+ | * [[국가표준곤충목록]] | ||
+ | * [[국가표준버섯목록]] | ||
==외부링크== | ==외부링크== | ||
− | * [http://nature.go.kr/klni/lichens/introduce.do | + | * [http://www.nature.go.kr/main/Main.do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 | * [http://nature.go.kr/klni/lichens/introduce.do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지의류목록] | ||
64번째 줄: | 75번째 줄: | ||
[[category: 579(DDC)]] | [[category: 579(DDC)]] | ||
[[Category: ntsɭ(ILC)]] | [[Category: ntsɭ(ILC)]] | ||
+ | [[Category: mpj(ILC)]] | ||
[[Category:임업·산촌(BRM2:정책영역)]] | [[Category:임업·산촌(BRM2:정책영역)]] | ||
[[Category:농림-임업·산촌(BRM)]] | [[Category:농림-임업·산촌(BRM)]] |
2025년 1월 8일 (수) 14:36 기준 최신판
영문제목 | Korea Lichen Name Index |
---|---|
발행기관 | 국립수목원 |
발행연도 | 2017 |
제공형식 | 온라인(Online) 및 xlsx |
KOS유형 | 목록 |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국가표준지의류목록(Korea Lichen Name Index)이란 혼란스럽게 통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지의류의 이름을 표준화하고자 지의류별 전문연구자가 최근의 분류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의류명을 정리하고, 국립수목원과 한국분류학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를 검토, 심의하여 결정, 정리한 목록이다.
우리나라 지의류에 대한 표준화되고 통일된 지의류목록(국명 및 학명)의 완성은 체계적인 국가지의류자원관리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지의류이름은 식물분류학의 연구 성과에 의해 정해지며, 라틴어의 학명의 선택방식에 따른 국제적인 규약과 함께 계속되는 식물의 연구에 따라 그 명칭이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지의류명도 존재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지의류의 이름도 해석상의 차이에 의해 잘못 기록되어 일부에서는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런 혼란스럽게 통용되고 있는 지의류의 이름을 표준화하고자 지의류별 전문연구자가 최근의 분류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의류명을 정리하고, 국립수목원과 한국분류학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를 검토, 심의하여 결정, 정리한 목록입니다. 이렇게 작성, 정리된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은 지속적으로 지의류명에 대한 최근의 자료를 반영하여 관리되며, 중앙 DB화 작업을 통해 인터넷상에서 첨부파일의 형태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됩니다. 이로서, 정부부처 및 관련 연구기관, 교육기관 등 일반 식물관련 전 분야에 걸쳐 작성된 통일된 지의류목록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1]
관련정보[편집 | 원본 편집]
기타자료
신문기사
분류정보[편집 | 원본 편집]
BRM | 농림-임업·산촌 | |
---|---|---|
KDC6 | 484 | 조균류 |
DDC23 | 579 | Collection & preservation of speciman |
ILC2 | ntsɭ | lichens |
mpj | mosses; bryophyta [bryology] |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국가표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