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기 건축도면 아카이브 연구가이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원문열람) |
(→원문열람) |
||
248번째 줄: | 248번째 줄: | ||
-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정부대전청사 2동 국가기록원 (둔산동) | -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정부대전청사 2동 국가기록원 (둔산동) | ||
− | - 열람문의 : 월~금 09:00~18:00 | + | - 열람문의 : 월~금 09:00~18:00 대전본원 042-481-6300 |
2020년 12월 16일 (수) 03:02 기준 최신판
이 가이드의 목적[편집 | 원본 편집]
(그림4)
이 연구가이드는 국가기록원이 서비스하고 있는 기록정보콘텐츠인 일제시기 건축도면 아카이브의 기록 구성과 이용방법, 또한 국가기록원 외 다른 기관의 일제시기 건축도면 기록의 소장 현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알아두어야 할 것[편집 | 원본 편집]
일제시기 건축도면 아카이브에서 다루고 있는 기록[편집 | 원본 편집]
현재 국가기록원은 조선총독부와 유관기관이 1900년대부터 1950년대 초 사이에 생산한 건축설계원도 26,000여 매와 건축 관련 문서로 건축회계 문서군에 107권, 지방회계 문서군 중 영선관계에 10권을 소장하고 있다. 이 기록물들은 1945년 일본이 패망하면서 남기고 간 것으로(전봉희, 2009) 국가기록원이 이를 일반에 공개하기 위해 2007년부터 정리 및 해제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국가기록원의 기록정보콘텐츠 구축 사업의 대상이 된 기록물은 위의 소장기록 중 일제시기 조선총독부에서 주도하여 건축한 지방청사, 경찰서, 재판소, 검찰지청, 학교, 형무소, 병원, 시험장, 관측소 등 여러 공공건물과 전통건축물 등의 설계원도 26,483매이다.
일제시기 건축도면의 가치[편집 | 원본 편집]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시기의 건축 도면들은 사라져버린 우리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중 하나이다. 특히 19세기 말 이후 급격하게 근대 문명과 건축 양식의 이식을 경험했던 역사적 사실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며, 해방 이후 전쟁과 급격한 도시의 발달을 거치면서 사라진 당시 건축물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또한 근대기 신건축기술 도입 과정을 보여주고 설비 관련 도면을 통해 근대적 설비의 도입과 사용 양상도 살펴볼 수 있어, 관련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더욱이 당시 건축물들이 현재 대부분 멸실되어 가는 상황에서 일제시기 건축도면의 학술적·역사적인 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일제시기 건축도면의 생산기관[편집 | 원본 편집]
일제시기 건축도면 아카이브에서는 일제시기 설립된 건물들의 신축 및 증개축, 수선 등 공사과정에서 생산된 건축도면을 서비스하고 있는데, 생산연도는 1823년부터 1987년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은 1900~1950년대에 생산된 것이다. 주요 생산기관은 다음과 같다.
(그림5)
일제강점기 이전의 기록은 대한제국 시기 재무를 총괄했던 탁지부 산하의 건축소(建築所)에서 생산된 것으로, 일제 치하 이전에 제작되었으나 사실상 일제가 식민 통치를 위한 제반 시설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이므로 넓은 범위에서 일제시기 기록물로 분류할 수 있다.
한일병합 이후 본격적인 식민 통치가 시작되면서부터는 각종 건축공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조선총독부 및 부속관서마다 건축담당부서를 두어 각 부서에서 건축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그 후 총독부 건물 등 주요 신축사업이 완료되고 민간 건설업체가 성장함에 따라, 1928년에 조선총독부의 회계과 영선계(營繕係)로 건축부서가 통합 및 축소되었다.
또한 1945년 광복 이후에 생산된 건축도면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졌던 건물의 증개축, 수선 등 유지보수와 관련된 기록물로써 일제시기 건축도면 콘텐츠에 포함되었다.
이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주제별 해제 중 조선총독부의 건축기구와 건축도면의 생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제시기 건축도면 아카이브의 구성[편집 | 원본 편집]
(그림6)
일제시기 한국건축도면 콘텐츠에서는 설계원도 중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학교’로 분류된 건축도면을 별도 서비스하고 있다.
(그림7)
고적 · 관사 · 사법 · 행형 등 일제시기 건축도면 콘텐츠에서는 ‘학교’ 주제를 제외한 일제시기 각급 기관, 행정시설 관련 건축도면을 제공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시기 건축도면 기록[편집 | 원본 편집]
소장 현황[편집 | 원본 편집]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시기 건축 설계원도 현황은 다음과 같다.
(그림8)
학교 관련 도면이 4,905건으로 그 수가 가장 많으며, 설계원도 건수로는 구청사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기별 분포[편집 | 원본 편집]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시기 건축도면 중 생산연도를 알 수 없는 3,980건을 제외한 시기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그림9)
본격적으로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꾸준한 생산을 보이다가 일제가 패망한 1940년대에 급격히 건수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주요 기록형태[편집 | 원본 편집]
(그림10)
일제시기 건축도면 아카이브의 주요 기록형태로 건물의 평면도와 입면도, 단면도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이는 건물을 신축 또는 증개축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도면으로, 실제 공사를 위한 재료 정보나 상세 구조가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 연구를 위한 활용도가 가장 높은 기록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림11)
또한 대표적인 도면 형태로 실제적인 공사에 들어가기 이전 해당 부지의 토질을 균일하게 만드는 지균공사(地均工事)를 위한 지적도, 지형도가 있다.
(그림12)
한편 위와 같이 설비에 관련된 도면도 존재하는데, 건물의 골조 공사 이후에 건물의 사용에 필요한 가스, 전기, 수도 등의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제시기 건축도면 콘텐츠 이용방법[편집 | 원본 편집]
‘통합/상세검색’을 통한 검색[편집 | 원본 편집]
(고적 등 건축도면 콘텐츠 통합/상세검색 / 학교 건축도면 콘텐츠 상세검색 )
각 건축도면 콘텐츠 우측 상단의 ‘기록물 검색’ 탭을 클릭하면 통합/상세검색이 가능하다. 해당 검색창에서는 키워드 검색 외에도 ‘주제선텍’, ‘시설유형’, ‘공사유형’, ‘도면종류’, ‘생산연도’, ‘지역’을 한정하여 브라우징이 가능하다. 이 중 주제선택과 도면종류에 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주제선택 | 해설 |
---|---|
고적 | 조선 시대와 그 이전의 전통 건축물에 대한 실측도 및 수리도면 |
공공 | 조선총독부 제생원, 상공회의소, 원각사 등 각종 공공시설과 관련된 도면 |
관사 | 대한제국시기 통감부와 일제시기 조선총독부 및 유관기관의 관리들을 위해 지어진 주택 도면 |
교육 | 경성제국대학 및 전문대학, 소학교, 보통학교 등 학교 관련 도면 |
군사 | 일제시기 군훈련소 건축과 관련된 도면 |
박람회 | 대규모 임시 박물관 성격의 박람회 건축과 관련된 도면 |
박물관 | 일제 시기의 박물관 또는 진열관 건축과 관련된 도면 |
시험소 | 농업, 공업, 광업 등 각종 분야의 시험소와 연구소, 제조소 관련 도면 |
의료 | 일제시기 관립병원, 도부립병원 등 의료 시설에 관련된 도면 |
종교 | 일제시기 새롭게 건립된 각종 신사 시설들에 대한 도면 |
행정 | 대한제국시기 통감부, 일제시기 조선총독부, 부속기관 및 지방행정시설 건축과 관련된 도면 |
행형 | 일제시기 감옥 및 분감, 형무소, 소년원 등 행형과 관련된 도면 |
사법 | 일제시기 재판소, 지방법원 등 사법 시설과 관련된 도면 |
세관 | 일제시기 중앙 및 지방세관, 세관지서, 세관출장소 등과 관련된 도면 |
관측소 | 날씨나 대기현상을 관찰, 측정하는 관측소 및 기상대, 측후소와 관련된 도면 |
치안 | 일제시기 경무총감부, 지방경무부, 경찰서 등 치안시설과 관련된 도면 |
전매 | 국가가 독점적으로 상품을 생산, 판매하는 전매국 및 출장소와 관련된 도면 |
교통 | 일제시기 공항 및 철도와 관련된 도면 |
미상 | 시설이나 건물이 확실하지 않은 도면 |
기타 | 경성일본공사관, 휘호탑 등 주제분류가 이루어지지 않은 도면 |
이 중 교육 주제는 학교건축도면 콘텐츠에 별도 구축되어 있다. 주제명을 클릭하면 각 주제와 관련한 주제별 해제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종류 | 해설 |
---|---|
지적도 | 토지의 위치, 형질, 소유관계, 면적, 경계 등을 기록한 지도로, 본격적인 공사에 앞서 토지를 정리하는 지균공사(地均工事) 관련 내용 수록 |
지형도 | 지표면의 배치상황을 나타낸 지도로서 지적도와 유사 |
배치도 | 건물 배치 계획 또는 대지 전체에 공사를 하기 위해 대지경계선 내 건물들의 위치를 기재한 도면으로, 가스관이나 전기선의 배열 기재 |
평면도 | 건물 신축 및 증개축을 위한 기본적 도면으로, 각 층의 평면도 및 기초공사를 위한 기초북도(伏圖), 천정 목조프레임 형태를 기재한 천정북도, 각 층의 상부를 기재하는 각계량(各階梁)북도 등이 포함
(伏圖, 북도 : 위에서 내려다보고 그린 도면) |
입면도 |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가 기본으로 작도되어 있으며 각면건도(各面建圖)라고도 표기되어 있음, 대부분 치수나 기타 구체적인 건축정보는 담겨 있지 않음 |
단면도 | 건물 일부분의 상세한 부분을 도시하기 위해 대축적으로 작성된 도면, 상세도를 겸하는 경우가 많고, 건축 재료의 규격, 치수 등의 상세정보가 함께 기재됨 |
상세도(상세) | 건축물의 실제 공사에 있어 평면도나 입면도에서 나타나지 않는 세밀한 부분의 형상, 치수, 구조 등을 보이기 위하여 대축척으로 그리는 도면 |
건구표 | 해당 건물의 공사에 사용되는 건구(建具)에 대한 내역이 정리되어 있는 표
(建具, 건구 : 창호의 일본어 표현으로, 각종 창이나 문을 의미함) |
꼬리표 | 두루마리로 말아서 보관하는 도면 특성상 식별을 위하여 도면 귀퉁이에 끈으로 연결한 사각형 또는 원형의 표식 |
분류표 | 도면관리를 위해 스탬프를 사용하여 도면명, 관리번호, 축척, 작성연도, 공사명, 도면내용 등을 작성한 표 |
도장 | |
싸인 | |
기타 |
각 도면종류와 관련된 상세한 유형 설명은 주제별 해제 중 국가기록원 소장 일제강점기 건축도면의 현황 및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제 검색[편집 | 원본 편집]
( 고적 등 건축도면 콘텐츠 해제검색 / 학교 건축도면 콘텐츠 해제검색 )
각 건축도면 콘텐츠 우측 상단의 ‘기록물 검색’ 탭을 클릭한 뒤 좌측 날개의 ‘해제 검색’ 탭을 클릭하면 해제 검색 창으로 이동한다.
해제 검색에서는 해당 건축도면을 대상으로 국가기록원에서 발간한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Ⅰ 학교편, Ⅱ 고적·박람회·박물관·시험소·관사·신사·군훈련소편, Ⅲ 법원·형무소편, Ⅳ 의료·세관시설편, Ⅴ 조선총독부 청사(남산)·소속기관·관측소편, Ⅵ 조선총독부 청사(광화문), 치안시설, 전매시설편, Ⅶ 각급 기관 및 지방청사편에 수록된 해제를 검색할 수 있다. 관련도면의 ‘보기’ 탭을 클릭하면 해당 해제와 관련된 건축도면의 목록으로 이동한다.
가나다 검색[편집 | 원본 편집]
( 고적 등 건축도면 콘텐츠 가나다 검색 / 학교 건축도면 콘텐츠 )
각 건축도면 콘텐츠 우측 상단의 ‘기록물 검색’ 탭을 클릭한 뒤 좌측 날개의 ‘가나다 검색’ 탭을 클릭하면 가나다 검색 창으로 이동한다. 가나다 검색에서는 건축도면을 도면명의 자음 순으로 모아볼 수 있다.
학교검색 및 도면검색[편집 | 원본 편집]
학교 건축도면 콘텐츠에서는 추가적으로 학교명 및 도면명으로 학교검색 및 도면검색이 가능하다.
국가기록원 원문검색 중 일제강점기 건축도면 검색[편집 | 원본 편집]
국가기록원 메인 페이지 우측 상단의 ‘원문검색’ 탭을 클릭하면 ‘일제강점기 건축도면’ 탭에서 일제시기 건축도면 아카이브에 구축된 기록물과 동일한 컬렉션을 도면명 및 시설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아카이브와 기관에서 찾을 수 있는 일제시기 건축도면 기록 혹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현재 다른 아카이브와 기관에서 찾아볼 수 있는 해방 이전 일제시기 건축도면은 다음과 같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및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편집 | 원본 편집]
1910년 한일병합 이전에 작성된 도면들은 대부분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데, 개항 이후 서구의 근대식 건축 기법과 제도가 도입되면서 왕실과 관청에 의하여 진행된 근대 시설의 건축과 근대적인 도시 관리의 과정에서 생산된 자료들이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도면 자료는 현재까지 756매가 확인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이와 관련한 목록과 해제 정보 확인이 가능하며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에서 관련 기록을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편집 | 원본 편집]
식민지하 이왕직(李王職)에서 생산 혹은 관리하였던 궁궐 및 왕실과 관련된 도면들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다. 이왕직은 대한제국의 황실이 1910년 망국으로 인해 이왕가로 격하됨에 따라 기존의 황실 궁내부를 계승해 설치된 조직이다. 이왕직에서 관리하던 장서각의 자료는 1981년 최종적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장서각으로 옮겨지게 되었는데, 장서각이 소장하고 있는 도면은 모두 174종으로써 창덕궁, 경복궁 등 궁궐 및 왕실의 의례에 관한 도면과 가옥도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장서각에서는 관련 기록에 대한 서지정보와 해제, PDF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편집 | 원본 편집]
이왕직에서 관리하던 장서각 자료 중 문화재 관리와 직접 관련된 자료의 일부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으로 함께 이관되지 않고 문화재청에 남게 되었다. 건축도면류는 문화재청의 문화재연구소에서 관리하다가 2014년 문화재청 산하의 고궁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 이는 모두 489매의 도면이 남아 있는데, 덕수궁미술관 관련 도면이 429매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나머지 60매는 장서각 소장자료와 마찬가지로 궁궐 및 왕실 관련 도면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에서는 덕수궁미술관 관련 도면의 전수조사 및 연구결과를 정리한 「덕수궁 미술관 설계도」와, 나머지 60매에 대한 조사연구 보고서인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조선왕실 건축도면」에 대한 원문보기 및 원문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추가자료[편집 | 원본 편집]
국가기록원 간행물[편집 | 원본 편집]
● 국가기록원 편집부 (2008).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Ⅰ 학교편』 국가기록원.
● 국가기록원 편집부 (2009).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Ⅱ 고적·박람회·박물관·시험소·관사·신사·군훈련소편』 국가기록원.
● 국가기록원 편집부 (2010).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Ⅲ 법원·형무소편』 국가기록원.
● 국가기록원 편집부 (2010).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Ⅳ 의료·세관시설편』 국가기록원.
● 국가기록원 편집부 (2011).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Ⅴ 조선총독부 청사(남산)·소속기관·관측소편』 국가기록원.
● 국가기록원 편집부 (2014).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Ⅵ 조선총독부 청사(광화문), 치안시설, 전매시설편』 국가기록원.
● 국가기록원 편집부 (2014).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Ⅶ 각급 기관 및 지방청사편』 국가기록원.
타 기관 간행물[편집 | 원본 편집]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조선왕실 건축도면』 국립문화재연구소. :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도면 60매에 대한 조사연구 보고서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덕수궁 미술관 설계도』 국립문화재연구소. : 덕수궁미술관 관련 도면 전수조사 결과보고서
● 전봉희, 이규철, 서영희 (2012). 『한국근대도면의 원점』 서울대 출판문화원,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도면들을 정리한 자료
● 한국학중양연구원장서각 편집부 (2009). 『근대건축도면집 : 도면편 / 해설편』 한국학중양연구원.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도면들을 정리한 자료
원문열람[편집 | 원본 편집]
일제시기 건축도면 아카이브 기록물의 원문열람을 원하는 이용자는 국가기록원 대전본원에 직접 방문하거나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서 정보공개청구를 할 수 있다.
-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정부대전청사 2동 국가기록원 (둔산동)
- 열람문의 : 월~금 09:00~18:00 대전본원 042-481-6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