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infobox |title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 |header1= 160px |label2 = 영문제목 |data2 = Encyclopedia of Korea...)
 
잔글 (Admin님이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 문서를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data7 = 온라인(Online) 및 PDF, 인쇄본
 
|data7 = 온라인(Online) 및 PDF, 인쇄본
 
|label8 = KOS유형
 
|label8 = KOS유형
|data8 = [[용어사전]]
+
|data8 = [[백과사전]]
 
|label9 = BARTOC
 
|label9 = BARTOC
 
|data9 =  
 
|data9 =  
 
}}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Housing)은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로 나뉘어져 있으며 ‘주생활’편은 우리 민족의 생활 속에서 발생하여 전승되어 온 주생활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 해설하였다. 표제어의 배열은 가나다순으로 하였으나 주생활을 크게 10개의 분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도록 분야별 차례를 제공한다. 분야는 집, 공간, 구성, 살림살이, 의례, 연장, 공법, 부재, 자료, 용어이다.사전은 표제어 406항목, 원고5,500여 매, 사진 850여 장으로 구성되었다.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은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로 나뉘어져 있으며 ‘주생활’편은 우리 민족의 생활 속에서 발생하여 전승되어 온 주생활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 해설하였다. 표제어의 배열은 가나다순으로 하였으나 주생활을 크게 10개의 분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도록 분야별 차례를 제공한다. 분야는 집, 공간, 구성, 살림살이, 의례, 연장, 공법, 부재, 자료, 용어이다.사전은 표제어 406항목, 원고5,500여 매, 사진 850여 장으로 구성되었다.
 
  
  
54번째 줄: 53번째 줄:
 
- 2019년 주생활편 1,2
 
- 2019년 주생활편 1,2
  
<div style="text-align:right;">(작성-소혜정)</div>
 
 
 
'''발간사 중'''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한국민속학의 정체성 확립, 학술 연구의 기초 자료 제공과 함께 많은 분들이 민속문화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을 편찬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그 여섯 번째 주제인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 ‘주생활住生活 편’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전에서는 우리 민족의 생활 속에서 발생하여 전승되어 온 주생활住生活을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정리·해설하였습니다.'''
 
 
 
'''발간개요'''
 
 
국립민속박물관의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은 민속을 크게 8개의 주제로 나누어 연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제1주제인 〈한국세시풍속사전〉 전5권을 2002년부터 2007년에 걸쳐 발간하였고, 2009년부터 제2주제인 〈한국민속신앙사전〉 편찬사업을 시작하였다. 2009년에 ‘무속신앙 편’(1・2권), 2010년에 ‘마을신앙 편’(1・2권), 2011년에 ‘가정신앙 편’(1・2권)을 발간하였다. 2012년에제3주제인 <한국민속문학사전> 편찬사업을 시작하여 같은 해 ‘설화 편’(1・2권), 2013년에 ‘민요 편’과 ‘판소리 편’을 발간하였다. 2014년에는 제4주제인<한국일생의례사전>(1·2권)을 발간하였고, 2015년에는 제5주제인 <한국민속예술사전>편찬사업을 시작하여 ‘민속극 편’과 ‘민속놀이 편’을 발간하였고, 2016년에는 ‘음악·농악·무용·민화 편’을 발간하였다. 2017년에는 제6주제인 <한국의식주생활사전> 편찬사업을 시작하여 ‘의생활 편(1・2권)’을 발간하였고, 2018년에는 ‘식생활 편(1・2권)’을 발간하였다. 올해는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 세 번째 편인 ‘주생활 편(1·2권)’을 발간하게 되었다.
 
 
 
'''이번에 발간한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주생활 편’은 표제어 406항목, 원고5,500여 매, 사진 850여 장으로 구성하였다. 사진자료는 집필자로부터 이용권을 구입한 사진과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사진, 타 기관에서 제공한 사진을 활용하였다.'''
 
 
 
이 사전은 관내・관외의 주생활 연구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단으로부터 사전편찬팀에서 선정한 표제어의 적합성을 검증 받았고, 여기에서 빠진중요한 표제어를 추천 받는 등의 도움을 받았다. 또한 주생활 분야를 전공한 72명의 연구자가 원고를 집필하였다.
 
 
수합한 원고는 사전편찬팀의 검수를 받은 후 전문가의 교정・교열・윤문을 거쳤다. 최종 원고는 각 분야에서 많은 연구업적을 쌓은 외부 학자의 감수를 거쳤으며 감수위원단이 문제점을 제기한 원고는 수정・보완하여 사전의 신뢰성과 권위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이 사전에서는 주생활을 크게 집, 공간, 구성, 살림살이, 의례, 연장, 공법,부재, 자료, 용어로 구분하였다.'''
 
 
'''사전은 발간사와 발간개요, 일러두기와 목차, 그리고 본문과 색인으로 구성하였다. 표제어 배열은 가나다순으로 하였으며, 분야별 차례를 구성하여 범주별표제어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집필자란을 마련하여 필자별 표제어를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출처: [https://folkency.nfm.go.kr/api/file/download/dictionary/201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주생활 발간개요 하단 2문단. PDF상 8p.]
 
  
 
==같이보기==
 
==같이보기==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식생활]]
  
  
 
==외부링크==
 
==외부링크==
 
+
*[https://folkency.nfm.go.kr/kr/dic/61/summary 한국의식주생활사전]
  
 
==각주 및 출처==
 
==각주 및 출처==
 +
* [https://folkency.nfm.go.kr/api/file/download/dictionary/201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주생활 발간개요 하단 2문단. PDF상 8p.]
  
 
+
[[category:지식조직체계]]
[[category:지식구조체계]]
+
[[분류:백과사전]]

2024년 10월 4일 (금) 20:30 기준 최신판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png
영문제목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 Housing
저자국립민속박물관
발행처한국민속대백과사전
발행년2017
제공형식온라인(Online) 및 PDF, 인쇄본
KOS유형백과사전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Housing)은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로 나뉘어져 있으며 ‘주생활’편은 우리 민족의 생활 속에서 발생하여 전승되어 온 주생활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 해설하였다. 표제어의 배열은 가나다순으로 하였으나 주생활을 크게 10개의 분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도록 분야별 차례를 제공한다. 분야는 집, 공간, 구성, 살림살이, 의례, 연장, 공법, 부재, 자료, 용어이다.사전은 표제어 406항목, 원고5,500여 매, 사진 850여 장으로 구성되었다.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주생활 1권: ㄱㄴㄷㄹㅁㅂ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주생활 2권: ㅅㅇㅈㅊㅋㅌㅍ


한편, 한국의식주생활사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진행중인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편찬사업의 제6주제에 속한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편찬사업은 한국민속학의 정체성 확립과 학술연구의 기초 자료 제공, 민속문화에 대한 대국민적 관심환기와 저변확대를 위함이다.


참고)<<한국민속대백과사전>>편찬사업 결과물
(2002~2007)제1주제: 한국세시풍속사전 1,2,3,4,5권 +색인

(2009~2011)제2주제: 한국민속신앙사전 편찬
- 2009년 무속신앙편 1,2권
- 2010년 마을신앙편 1,2권
- 2011년 가정신앙편 1,2권

(2012~2013)제3주제 한국민속문학사전
- 2012년 설화편 1,2권
- 2013년 민요편, 판소리편

(2014) 제4주제: 한국일생의례사전 1,2권

(2015~2016) 제5주제 한국민속예술사전
- 2015년 민속극편, 민속놀이편
- 2016년 음악•농악•무용•민화편

(2017)제6주제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2017년 의생활편 1,2
- 2018년 식생활편 1,2
- 2019년 주생활편 1,2


같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외부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및 출처[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