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십진분류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외부링크) |
(정보상자 정리, 외부링크 표기 정리)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header1= [[파일:한국십진분류법.jpg]] | |header1= [[파일:한국십진분류법.jpg]] | ||
|label2 = 영문제목 | |label2 = 영문제목 | ||
− | |data2 =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 | |data2 =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label3 = 약어 | |label3 = 약어 | ||
|data3 = KDC | |data3 = KDC | ||
|label4 = 저자 | |label4 = 저자 | ||
|data4 =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 |data4 =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 ||
− | |label5 = | + | |label5 = 발행기관 |
|data5 = [http://www.kla.kr/jsp/main.do 한국도서관협회] | |data5 = [http://www.kla.kr/jsp/main.do 한국도서관협회] | ||
− | |label6 = | + | |label6 = 발행연도 |
|data6 = 2013년(제6판) | |data6 = 2013년(제6판) | ||
+ | |label7 = 제공형식 | ||
+ | |data7 = 온라인(Online) 및 PDF | ||
|label8 = KOS유형 | |label8 = KOS유형 | ||
|data8 = 분류체계 | |data8 = 분류체계 | ||
− | |label9 = BARTOC | + | |label9 = 파일 |
− | | | + | |data9 = |
+ | |label10 = BARTOC | ||
+ | |data10 = https://bartoc.org/en/node/18570 | ||
}} | }} | ||
− | + | ==KOS 소개== | |
'''한국십진분류법'''(韓國十進分類法,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서분류체계이다. [[듀이십진분류법]](Dewey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DDC''')을 비롯한 서구의 분류법을 바탕으로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에서 간행하고 있으며, 한국의 정보환경에 맞도록 주류의 배열이나 조기표의 추가, 본표 항목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 '''한국십진분류법'''(韓國十進分類法,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서분류체계이다. [[듀이십진분류법]](Dewey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DDC''')을 비롯한 서구의 분류법을 바탕으로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에서 간행하고 있으며, 한국의 정보환경에 맞도록 주류의 배열이나 조기표의 추가, 본표 항목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 ||
25번째 줄: | 29번째 줄: | ||
==KDC의 특징== | ==KDC의 특징== | ||
===주류의 배열=== | ===주류의 배열=== | ||
− | 한국십진분류법(KDC)는 기본적으로 십진식 분류체계를 따르고 있다. 즉 KDC는 지식의 전 분야를 철학(100), 종교(200), 사회과학(300), 자연과학(400), 기술과학(500), 예술(600), 언어(700), 문학(800), 역사(900)와 같이 9개로 구분하고, 이 9개의 주류 중 어느 주류에도 속하지 않거나 그 전체 또는 여러 개의 주류를 포괄하는 것을 총류(000)라 하여 맨 앞에 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류(제1차구분)순서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듀이십진분류법]] | + | 한국십진분류법(KDC)는 기본적으로 십진식 분류체계를 따르고 있다. 즉 KDC는 지식의 전 분야를 철학(100), 종교(200), 사회과학(300), 자연과학(400), 기술과학(500), 예술(600), 언어(700), 문학(800), 역사(900)와 같이 9개로 구분하고, 이 9개의 주류 중 어느 주류에도 속하지 않거나 그 전체 또는 여러 개의 주류를 포괄하는 것을 총류(000)라 하여 맨 앞에 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류(제1차구분)순서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듀이십진분류법]](Dewey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DDC)을 바탕으로 십진식의 체계를 취하여 배열하고 있다. 그러나 KDC에서는 DDC가 언어와 문학을 분리시키고 있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두 주류를 각각 700과 800에 배정하여 근접시키고, 자연과학과 기술과학, 예술을 각각 한 단계씩 위로 이동시켰다. |
또한 KDC는 학문의 의한 분류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는 주제에 의한 분류를 보완하고 있다. KDC에서 기본으로 하고 있는 학문에 의한 분류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의 경우에도 해당주제에 대한 취급방법이나 접근하는 측면에 따라 별도의 학문분야에 분류되는 것을 의미한다. | 또한 KDC는 학문의 의한 분류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는 주제에 의한 분류를 보완하고 있다. KDC에서 기본으로 하고 있는 학문에 의한 분류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의 경우에도 해당주제에 대한 취급방법이나 접근하는 측면에 따라 별도의 학문분야에 분류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 ===분류기호의 조직=== | + | ===분류기호의 조직 === |
KDC는 십진식에 따라 지식의 전 분야를 10개의 유(類, class)로 대별하고, 이를 기초로 삼아 점진적으로 전개해 나가는 계층적 분류표이다. 분류기호로는 아라비아숫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1 철학, 2 종교, 3 사회과학, 4 자연과학, 5 기술과학, 6 예술, 7 언어, 8 문학, 9 역사와 같이 9개로 구분하고, 이 9개 주류 중 어느 주류에도 속하지 않거나 그 전체 또는 여러 개 주류를 포괄하는 것을 0 총류(總類)라 하여 맨 앞에 배정하고 있다(다만 실제 분류기호의 경우는 세 자리가 안 될 떄는 세 자리를 채우기 위해 부족한 자리수를 0으로 채우기 된다). 이 10개의 기초구분을 주류(main classes)라 부른다. | KDC는 십진식에 따라 지식의 전 분야를 10개의 유(類, class)로 대별하고, 이를 기초로 삼아 점진적으로 전개해 나가는 계층적 분류표이다. 분류기호로는 아라비아숫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1 철학, 2 종교, 3 사회과학, 4 자연과학, 5 기술과학, 6 예술, 7 언어, 8 문학, 9 역사와 같이 9개로 구분하고, 이 9개 주류 중 어느 주류에도 속하지 않거나 그 전체 또는 여러 개 주류를 포괄하는 것을 0 총류(總類)라 하여 맨 앞에 배정하고 있다(다만 실제 분류기호의 경우는 세 자리가 안 될 떄는 세 자리를 채우기 위해 부족한 자리수를 0으로 채우기 된다). 이 10개의 기초구분을 주류(main classes)라 부른다. | ||
44번째 줄: | 48번째 줄: | ||
위와 같이 십진식으로 전개된 각 구분은 모두 아라비아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특정한 구분을 표시하는 숫자를 '''분류기호'''(class number)라 한다. 개개의 분류기호는 특정학문분야의 특정주제를 의미하고있으므로, 어떤 특정학문 분야의 특정주제를 다룬 자료에 대해서는 어느 것이나 동일한 분류기호가 부여된다. 그러므로 체계적으로 조직된 일련의 분류기호는 곧 주제의 순서를 표시하며, 도서관의 자료는 그 순서에 따라 배가(配架)되는 것이다. | 위와 같이 십진식으로 전개된 각 구분은 모두 아라비아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특정한 구분을 표시하는 숫자를 '''분류기호'''(class number)라 한다. 개개의 분류기호는 특정학문분야의 특정주제를 의미하고있으므로, 어떤 특정학문 분야의 특정주제를 다룬 자료에 대해서는 어느 것이나 동일한 분류기호가 부여된다. 그러므로 체계적으로 조직된 일련의 분류기호는 곧 주제의 순서를 표시하며, 도서관의 자료는 그 순서에 따라 배가(配架)되는 것이다. | ||
− | ===분류기호의 단점=== | + | === 분류기호의 단점=== |
분류기호를 십진식으로 조직한 분류법에서는 구분단위, 즉 구분지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주제의 합리적인 전개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십진식으로 전개된 분류법에서는 9구분의 제한을 받아 분류기호 조직상 소밀의 차이가 심하며, 조밀한 곳에서는 분류기호가 길어져서 복잡하다. 또한 주제를 논리적인 진화순으로 전개하거나 학문의 진화에 따라 새로이 출현하는 주제를 논리적으로 적합한 위치에 삽입하는 일이 곤란한 경우가 많고, 이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빈번히 수정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 분류기호를 십진식으로 조직한 분류법에서는 구분단위, 즉 구분지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주제의 합리적인 전개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십진식으로 전개된 분류법에서는 9구분의 제한을 받아 분류기호 조직상 소밀의 차이가 심하며, 조밀한 곳에서는 분류기호가 길어져서 복잡하다. 또한 주제를 논리적인 진화순으로 전개하거나 학문의 진화에 따라 새로이 출현하는 주제를 논리적으로 적합한 위치에 삽입하는 일이 곤란한 경우가 많고, 이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빈번히 수정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 ||
70번째 줄: | 74번째 줄: | ||
*1996년 제4판 발행 | *1996년 제4판 발행 | ||
*2009년 제5판 발행 | *2009년 제5판 발행 | ||
− | *2013년 제6판 발행 | + | * 2013년 제6판 발행 |
==KDC 분류기호 요강목표(6판기준)== | ==KDC 분류기호 요강목표(6판기준)== | ||
77번째 줄: | 81번째 줄: | ||
===000 총류=== | ===000 총류===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colspan="5"|'''000 총류''' | + | ! colspan="5" |'''000 총류''' |
|- | |- | ||
− | |style="width:20%"|'''000 총류''' ||style="width:20%"|'''010 도서학, 서지학''' ||style="width:20%"|'''020 문헌정보학''' ||style="width:20%"|'''030 백과사전''' ||style="width:20%"|'''040 강연집, 수필집, 연설문집''' | + | | style="width:20%" |'''000 총류'''|| style="width:20%" |'''010 도서학, 서지학'''|| style="width:20%" |'''020 문헌정보학'''|| style="width:20%" |'''030 백과사전'''|| style="width:20%" |'''040 강연집, 수필집, 연설문집''' |
|- | |- | ||
| | | | ||
− | *001 지식 및 학문 일반 | + | * 001 지식 및 학문 일반 |
*002 [미사용] | *002 [미사용] | ||
*003 이론 체계 및 시스템 | *003 이론 체계 및 시스템 | ||
107번째 줄: | 111번째 줄: | ||
*022 도서관 건축 및 설비 | *022 도서관 건축 및 설비 | ||
*023 도서관 경영, 관리 | *023 도서관 경영, 관리 | ||
− | *024 수서, 정리 및 보존 | + | * 024 수서, 정리 및 보존 |
*025 도서관 봉사 및 활동 | *025 도서관 봉사 및 활동 | ||
*026 일반도서관 | *026 일반도서관 | ||
130번째 줄: | 134번째 줄: | ||
*043 일본어 | *043 일본어 | ||
*044 영어 | *044 영어 | ||
− | *045 독일어 | + | * 045 독일어 |
*046 프랑스어 | *046 프랑스어 | ||
*047 스페인어 | *047 스페인어 | ||
− | *048 이탈리아어 | + | * 048 이탈리아어 |
*049 기타 제언어 | *049 기타 제언어 | ||
|- | |- | ||
− | | '''050 일반연속간행물''' | + | |'''050 일반연속간행물''' |
− | | '''060 일반 학회, 단체, 협회, 기관, 연구기관''' | + | |'''060 일반 학회, 단체, 협회, 기관, 연구기관''' |
− | | '''070 신문, 저널리즘''' | + | |'''070 신문, 저널리즘''' |
− | | '''080 일반 전집, 총서''' | + | |'''080 일반 전집, 총서''' |
− | | '''090 향토자료''' | + | |'''090 향토자료''' |
|- | |- | ||
| | | | ||
154번째 줄: | 158번째 줄: | ||
*059 연감 | *059 연감 | ||
− | | | + | | |
*061 아시아 | *061 아시아 | ||
*062 유럽 | *062 유럽 | ||
165번째 줄: | 169번째 줄: | ||
*069 박물관학 | *069 박물관학 | ||
− | | | + | | |
*071 아시아 | *071 아시아 | ||
*072 유럽 | *072 유럽 | ||
204번째 줄: | 208번째 줄: | ||
! colspan="5" |'''100 철학''' | ! colspan="5" |'''100 철학''' | ||
|- | |- | ||
− | |style="width:20%"|'''100 철학''' ||style="width:20%"|'''110 형이상학''' ||style="width:20%"|'''120 인식론, 인과론, 인간학''' ||style="width:20%"|'''130 철학의 체계''' ||style="width:20%"|'''140 경학''' | + | | style="width:20%" |'''100 철학'''|| style="width:20%" |'''110 형이상학'''|| style="width:20%" |'''120 인식론, 인과론, 인간학'''|| style="width:20%" |'''130 철학의 체계'''|| style="width:20%" |'''140 경학''' |
|- | |- | ||
| | | | ||
211번째 줄: | 215번째 줄: | ||
*103 사전(辭典), 사전(事典), 용어사전 | *103 사전(辭典), 사전(事典), 용어사전 | ||
*104 강연집, 수필집 | *104 강연집, 수필집 | ||
− | *105 연속간행물 | + | * 105 연속간행물 |
*106 학회, 단체, 협회, 기관, 회의 | *106 학회, 단체, 협회, 기관, 회의 | ||
*107 지도법, 연구법 및 교육, 교육자료 | *107 지도법, 연구법 및 교육, 교육자료 | ||
223번째 줄: | 227번째 줄: | ||
*114 공간 | *114 공간 | ||
*115 시간 | *115 시간 | ||
− | *116 운동과 변화 | + | * 116 운동과 변화 |
*117 구조 | *117 구조 | ||
*118 힘과 에너지 | *118 힘과 에너지 | ||
248번째 줄: | 252번째 줄: | ||
*137 유물론 | *137 유물론 | ||
*138 과학주의 | *138 과학주의 | ||
− | *139 기타 | + | * 139 기타 |
| | | | ||
282번째 줄: | 286번째 줄: | ||
*161 [미사용] | *161 [미사용] | ||
*162 미국철학 | *162 미국철학 | ||
− | *163 북구철학 | + | * 163 북구철학 |
*164 영국철학 | *164 영국철학 | ||
− | *165 독일, 오스트리아 철학 | + | * 165 독일, 오스트리아 철학 |
*166 프랑스, 네덜란드 철학 | *166 프랑스, 네덜란드 철학 | ||
*167 스페인철학 | *167 스페인철학 | ||
290번째 줄: | 294번째 줄: | ||
*169 러시아철학 | *169 러시아철학 | ||
− | | | + | | |
*171 연역법 | *171 연역법 | ||
*172 귀납법 | *172 귀납법 | ||
320번째 줄: | 324번째 줄: | ||
*196 오락 및 경기윤리 | *196 오락 및 경기윤리 | ||
*197 성윤리 및 생식윤리 | *197 성윤리 및 생식윤리 | ||
− | *198 소비윤리 | + | * 198 소비윤리 |
*199 도덕훈, 교훈 | *199 도덕훈, 교훈 | ||
330번째 줄: | 334번째 줄: | ||
! colspan="5" |'''200 종교''' | ! colspan="5" |'''200 종교''' | ||
|- | |- | ||
− | |style="width:20%"|'''200 종교''' ||style="width:20%"|'''210 비교종교''' ||style="width:20%"|'''220 불교''' ||style="width:20%"|'''230 기독교''' ||style="width:20%"|'''240 도교''' | + | | style="width:20%" |'''200 종교'''|| style="width:20%" |'''210 비교종교'''|| style="width:20%" |'''220 불교'''|| style="width:20%" |'''230 기독교'''|| style="width:20%" |'''240 도교''' |
|- | |- | ||
| | | | ||
336번째 줄: | 340번째 줄: | ||
*202 잡저 | *202 잡저 | ||
*203 사전(辭典), 사전(事典) | *203 사전(辭典), 사전(事典) | ||
− | *204 자연종교, 자연신학 | + | * 204 자연종교, 자연신학 |
*205 연속간행물 | *205 연속간행물 | ||
*206 학회, 단체, 협회, 기관, 회의 | *206 학회, 단체, 협회, 기관, 회의 | ||
369번째 줄: | 373번째 줄: | ||
*231 기독교신학, 교의학(조직신학) | *231 기독교신학, 교의학(조직신학) | ||
*232 예수 그리스도, 사도 | *232 예수 그리스도, 사도 | ||
− | *233 성서(성경) | + | * 233 성서(성경) |
*234 종교신앙, 신앙록, 신앙생활 | *234 종교신앙, 신앙록, 신앙생활 | ||
*235 전도, 교육, 교화 활동, 목회학 | *235 전도, 교육, 교화 활동, 목회학 | ||
376번째 줄: | 380번째 줄: | ||
*238 교파 | *238 교파 | ||
*239 유대교(유태교) | *239 유대교(유태교) | ||
− | | | + | | |
*241 교의, 신선사상 | *241 교의, 신선사상 | ||
*242 교주, 개조(장도릉) | *242 교주, 개조(장도릉) | ||
383번째 줄: | 387번째 줄: | ||
*245 포교, 전도, 교육, 교육 활동 | *245 포교, 전도, 교육, 교육 활동 | ||
*246 사원론(도관) | *246 사원론(도관) | ||
− | *247 행사, 법술 | + | * 247 행사, 법술 |
*248 교파 | *248 교파 | ||
*249 [미사용] | *249 [미사용] | ||
|- | |- | ||
− | | '''250 천도교''' | + | |'''250 천도교''' |
− | | '''260 [미사용]''' | + | |'''260 [미사용]''' |
− | | '''270 힌두교, 브라만교''' | + | |'''270 힌두교, 브라만교''' |
− | | '''280 이슬람교(회교)''' | + | |'''280 이슬람교(회교)''' |
− | | '''290 기타 제종교''' | + | |'''290 기타 제종교''' |
|- | |- | ||
| | | | ||
397번째 줄: | 401번째 줄: | ||
*252 종교창시자(교주) 및 제자 | *252 종교창시자(교주) 및 제자 | ||
*253 경전, 성전 | *253 경전, 성전 | ||
− | *254 신앙록, 신앙생활, 수도생활 | + | * 254 신앙록, 신앙생활, 수도생활 |
*255 선교, 포교, 전도, 교육 활동 | *255 선교, 포교, 전도, 교육 활동 | ||
*256 종단, 교단(교단론) | *256 종단, 교단(교단론) | ||
*257 예배형식, 의식, 의례 | *257 예배형식, 의식, 의례 | ||
− | *258 동학교분파 | + | * 258 동학교분파 |
*259 단군교, 대종교 | *259 단군교, 대종교 | ||
| | | | ||
− | *261 [미사용] | + | * 261 [미사용] |
− | *262 [미사용] | + | * 262 [미사용] |
− | *263 [미사용] | + | * 263 [미사용] |
− | *264 [미사용] | + | * 264 [미사용] |
− | *265 [미사용] | + | * 265 [미사용] |
*266 [미사용] | *266 [미사용] | ||
*267 [미사용] | *267 [미사용] | ||
428번째 줄: | 432번째 줄: | ||
| | | | ||
*281 교리, 교의 | *281 교리, 교의 | ||
− | *282 교창시자(교주) 및 제자 | + | * 282 교창시자(교주) 및 제자 |
*283 경전, 성전 | *283 경전, 성전 | ||
*284 신앙록, 신앙생활, 수도생활 | *284 신앙록, 신앙생활, 수도생활 | ||
437번째 줄: | 441번째 줄: | ||
*289 조로아스터교(요교, 배화교) | *289 조로아스터교(요교, 배화교) | ||
− | | | + | | |
*291 아시아 | *291 아시아 | ||
*292 유럽 | *292 유럽 | ||
454번째 줄: | 458번째 줄: | ||
! colspan="5" |'''300 사회과학''' | ! colspan="5" |'''300 사회과학''' | ||
|- | |- | ||
− | |style="width:20%"|'''300 사회과학''' ||style="width:20%"|'''310 통계자료''' ||style="width:20%"|'''320 경제학''' ||style="width:20%"|'''330 사회학, 사회문제''' ||style="width:20%"|'''340 정치학''' | + | | style="width:20%" |'''300 사회과학'''|| style="width:20%" |'''310 통계자료'''|| style="width:20%" |'''320 경제학'''|| style="width:20%" |'''330 사회학, 사회문제'''|| style="width:20%" |'''340 정치학''' |
|- | |- | ||
| | | | ||
474번째 줄: | 478번째 줄: | ||
*316 오세아니아, 양극지방 | *316 오세아니아, 양극지방 | ||
*317 일반지역 | *317 일반지역 | ||
− | *318 [미사용] | + | *318 [미사용] |
*319 인구통계 | *319 인구통계 | ||
| | | | ||
*321 경제각론 | *321 경제각론 | ||
− | *322 경제정책 | + | * 322 경제정책 |
*323 산업경제, 일반 | *323 산업경제, 일반 | ||
*324 기업경제 | *324 기업경제 | ||
489번째 줄: | 493번째 줄: | ||
*331 사회학 | *331 사회학 | ||
*332 사회 조직 및 제도 | *332 사회 조직 및 제도 | ||
− | *333 [미사용] | + | *333 [미사용] |
*334 사회문제 | *334 사회문제 | ||
*335 생활문제 | *335 생활문제 | ||
*336 [미사용] | *336 [미사용] | ||
− | *337 여성문제 | + | * 337 여성문제 |
*338 사회복지 | *338 사회복지 | ||
*339 사회단체 | *339 사회단체 | ||
| | | | ||
*341 국가형태 | *341 국가형태 | ||
− | *342 국가와 개인 및 집단 | + | * 342 국가와 개인 및 집단 |
*343 [미사용] | *343 [미사용] | ||
*344 선거 | *344 선거 | ||
528번째 줄: | 532번째 줄: | ||
*362 헌법 | *362 헌법 | ||
*363 행정법 | *363 행정법 | ||
− | *364 형법 | + | * 364 형법 |
− | *365 민법 | + | * 365 민법 |
*366 상법 | *366 상법 | ||
*367 사법제도 및 소송법 | *367 사법제도 및 소송법 | ||
554번째 줄: | 558번째 줄: | ||
*387 [미사용] | *387 [미사용] | ||
*388 민속학 | *388 민속학 | ||
− | *389 문화인류학 | + | * 389 문화인류학 |
| | | | ||
*391 군사행정 | *391 군사행정 | ||
572번째 줄: | 576번째 줄: | ||
! colspan="5" |'''400 자연과학''' | ! colspan="5" |'''400 자연과학''' | ||
|- | |- | ||
− | |style="width:20%"|'''400 자연과학''' ||style="width:20%"|'''410 수학''' ||style="width:20%"|'''420 물리학''' ||style="width:20%"|'''430 화학''' ||style="width:20%"|'''440 천문학''' | + | | style="width:20%" |'''400 자연과학'''|| style="width:20%" |'''410 수학'''|| style="width:20%" |'''420 물리학'''|| style="width:20%" |'''430 화학'''|| style="width:20%" |'''440 천문학''' |
|- | |- | ||
| | | | ||
*401 철학 및 이론 | *401 철학 및 이론 | ||
− | *402 잡저(편람, 제표, 서지, 인명록) | + | * 402 잡저(편람, 제표, 서지, 인명록) |
*403 사전, 백과사전 | *403 사전, 백과사전 | ||
*404 강연집, 수필집, 연설문집 | *404 강연집, 수필집, 연설문집 | ||
588번째 줄: | 592번째 줄: | ||
*412 대수학 | *412 대수학 | ||
*413 통계학 | *413 통계학 | ||
− | *414 해석학 | + | * 414 해석학 |
*415 기하학 | *415 기하학 | ||
*416 위상수학 | *416 위상수학 | ||
620번째 줄: | 624번째 줄: | ||
*444 [미사용] | *444 [미사용] | ||
*445 지구 | *445 지구 | ||
− | *446 측지학 | + | * 446 측지학 |
*447 항해천문학 | *447 항해천문학 | ||
*448 역법, 측시법 | *448 역법, 측시법 | ||
661번째 줄: | 665번째 줄: | ||
*478 현미경 및 현미경검사법 일반 | *478 현미경 및 현미경검사법 일반 | ||
*479 생물 채집 및 보존 | *479 생물 채집 및 보존 | ||
− | | | + | | |
*481 일반 식물학 | *481 일반 식물학 | ||
*482 은화식물 | *482 은화식물 | ||
*483 엽상식물 | *483 엽상식물 | ||
*484 조균류 | *484 조균류 | ||
− | *485 현화식물, 종자식물 | + | * 485 현화식물, 종자식물 |
*486 나자식물 | *486 나자식물 | ||
*487 피자식물 | *487 피자식물 | ||
676번째 줄: | 680번째 줄: | ||
*492 무척추동물 | *492 무척추동물 | ||
*493 원생동물, 해면동물, 자포동물, 선형동물 | *493 원생동물, 해면동물, 자포동물, 선형동물 | ||
− | *494 연체동물, 의연체동물 | + | * 494 연체동물, 의연체동물 |
*495 절지동물, 곤충류 | *495 절지동물, 곤충류 | ||
*496 척삭(척색)동물 | *496 척삭(척색)동물 | ||
− | *497 어류, 양서류, 파충류 | + | * 497 어류, 양서류, 파충류 |
*498 조류 | *498 조류 | ||
*499 포유류 | *499 포유류 | ||
690번째 줄: | 694번째 줄: | ||
! colspan="5" |'''500 기술과학''' | ! colspan="5" |'''500 기술과학''' | ||
|- | |- | ||
− | |style="width:20%"|'''500 기술과학''' ||style="width:20%"|'''510 의학''' ||style="width:20%"|'''520 농업, 농학''' ||style="width:20%"|'''530 공학, 공업일반, 토목공학, 환경공학''' ||style="width:20%"|'''540 건축, 건축학''' | + | | style="width:20%" |'''500 기술과학'''|| style="width:20%" |'''510 의학'''|| style="width:20%" |'''520 농업, 농학'''|| style="width:20%" |'''530 공학, 공업일반, 토목공학, 환경공학'''|| style="width:20%" |'''540 건축, 건축학''' |
|- | |- | ||
| | | | ||
713번째 줄: | 717번째 줄: | ||
*519 한의학 | *519 한의학 | ||
| | | | ||
− | *521 농업기초학 | + | * 521 농업기초학 |
*522 농업경제 | *522 농업경제 | ||
*523 재배 및 보호 | *523 재배 및 보호 | ||
*524 작물학 | *524 작물학 | ||
− | *525 원예 | + | * 525 원예 |
*526 임학, 임업 | *526 임학, 임업 | ||
*527 축산학 | *527 축산학 | ||
723번째 줄: | 727번째 줄: | ||
*529 수산업, 생물자원의 보호, 수렵업 | *529 수산업, 생물자원의 보호, 수렵업 | ||
| | | | ||
− | *531 토목공학 | + | * 531 토목공학 |
*532 토목역학, 토목재료 | *532 토목역학, 토목재료 | ||
*533 측량 | *533 측량 | ||
749번째 줄: | 753번째 줄: | ||
|'''590 생활과학''' | |'''590 생활과학''' | ||
|- | |- | ||
− | | | + | | |
*551 기계 역학, 요소 및 설계 | *551 기계 역학, 요소 및 설계 | ||
*552 공구와 가공장비 | *552 공구와 가공장비 | ||
773번째 줄: | 777번째 줄: | ||
*572 폭발물, 연료 공업 | *572 폭발물, 연료 공업 | ||
*573 음료기술 | *573 음료기술 | ||
− | *574 식품공학 | + | * 574 식품공학 |
*575 납, 유지, 석유, 가스 공업 | *575 납, 유지, 석유, 가스 공업 | ||
*576 요업 및 관련공업 | *576 요업 및 관련공업 | ||
782번째 줄: | 786번째 줄: | ||
*581 금속 제조 및 가공업 | *581 금속 제조 및 가공업 | ||
*582 철 및 강철 제품 | *582 철 및 강철 제품 | ||
− | *583 철기류 및 소규모철공 | + | * 583 철기류 및 소규모철공 |
*584 제재업, 목공업, 목제품 | *584 제재업, 목공업, 목제품 | ||
*585 피혁 및 모피 공업 | *585 피혁 및 모피 공업 | ||
802번째 줄: | 806번째 줄: | ||
|} | |} | ||
− | ===600 예술=== | + | === 600 예술===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colspan="5" |'''600 예술''' | ! colspan="5" |'''600 예술''' | ||
|- | |- | ||
− | |style="width:20%"|'''600 예술''' ||style="width:20%"|'''610 [미사용]''' ||style="width:20%"|'''620 조각, 조형미술''' ||style="width:20%"|'''630 공예''' ||style="width:20%"|'''640 서예''' | + | | style="width:20%" |'''600 예술'''|| style="width:20%" |'''610 [미사용]'''|| style="width:20%" |'''620 조각, 조형미술'''|| style="width:20%" |'''630 공예'''|| style="width:20%" |'''640 서예''' |
|- | |- | ||
− | | | + | | |
*601 미술이론, 미학 | *601 미술이론, 미학 | ||
*602 미술 재료 및 기법 | *602 미술 재료 및 기법 | ||
833번째 줄: | 837번째 줄: | ||
*623 목조 | *623 목조 | ||
*624 석조 | *624 석조 | ||
− | *625 금동조 | + | * 625 금동조 |
*626 점토조소, 소조 | *626 점토조소, 소조 | ||
*627 기타 재료 | *627 기타 재료 | ||
− | *628 전각, 인장 | + | * 628 전각, 인장 |
*629 제상 | *629 제상 | ||
| | | | ||
− | *631 도자공예, 유리공예 | + | * 631 도자공예, 유리공예 |
*632 금속공예 | *632 금속공예 | ||
− | *633 보석, 갑각, 패류, 알 공예 | + | * 633 보석, 갑각, 패류, 알 공예 |
*634 목, 죽, 화훼, 왕골 공예 | *634 목, 죽, 화훼, 왕골 공예 | ||
*635 칠공예 | *635 칠공예 | ||
*636 염직물공예, 섬유공예 | *636 염직물공예, 섬유공예 | ||
*637 고무, 플라스틱 공예 | *637 고무, 플라스틱 공예 | ||
− | *638 미술가구 | + | * 638 미술가구 |
*639 [미사용] | *639 [미사용] | ||
| | | | ||
859번째 줄: | 863번째 줄: | ||
*649 문방구 | *649 문방구 | ||
|- | |- | ||
− | |'''650 회화, 도화, 디자인''' | + | |'''650 회화, 도화, 디자인''' |
− | |'''660 사진예술''' | + | |'''660 사진예술''' |
− | |'''670 음악''' | + | |'''670 음악''' |
− | |'''680 공연예술, 매체예술''' | + | |'''680 공연예술, 매체예술''' |
− | |'''690 오락, 스포트''' | + | |'''690 오락, 스포트''' |
|- | |- | ||
| | | | ||
922번째 줄: | 926번째 줄: | ||
! colspan="5" |'''700 언어''' | ! colspan="5" |'''700 언어''' | ||
|- | |- | ||
− | |style="width:20%"|'''700 언어''' ||style="width:20%"|'''710 한국어''' ||style="width:20%"|'''720 중국어''' ||style="width:20%"|'''730 일본어 및 기타 아시아 제어''' ||style="width:20%"|'''740 영어''' | + | | style="width:20%" |'''700 언어'''|| style="width:20%" |'''710 한국어'''|| style="width:20%" |'''720 중국어'''|| style="width:20%" |'''730 일본어 및 기타 아시아 제어'''|| style="width:20%" |'''740 영어''' |
|- | |- | ||
| | | | ||
*701 언어학 | *701 언어학 | ||
− | *702 잡저 | + | * 702 잡저 |
*703 사전 | *703 사전 | ||
*704 강연집, 수필집 | *704 강연집, 수필집 | ||
945번째 줄: | 949번째 줄: | ||
*719 [미사용] | *719 [미사용] | ||
| | | | ||
− | *721 음운, 음성, 문자 | + | * 721 음운, 음성, 문자 |
*722 어원, 어의 | *722 어원, 어의 | ||
*723 사전 | *723 사전 | ||
− | *724 어휘 | + | * 724 어휘 |
*725 문법, 어법 | *725 문법, 어법 | ||
*726 작문 | *726 작문 | ||
958번째 줄: | 962번째 줄: | ||
*732 어원, 어의 | *732 어원, 어의 | ||
*733 사전 | *733 사전 | ||
− | *734 어휘 | + | * 734 어휘 |
*735 문법, 어법 | *735 문법, 어법 | ||
*736 작문 | *736 작문 | ||
967번째 줄: | 971번째 줄: | ||
*741 음운, 음성, 문자 | *741 음운, 음성, 문자 | ||
*742 어원, 어의 | *742 어원, 어의 | ||
− | *743 사전 | + | * 743 사전 |
*744 어휘 | *744 어휘 | ||
*745 문법 | *745 문법 | ||
997번째 줄: | 1,001번째 줄: | ||
*764 어휘 | *764 어휘 | ||
*765 문법 | *765 문법 | ||
− | *766 작문 | + | * 766 작문 |
− | *767 독본, 해석, 회화 | + | * 767 독본, 해석, 회화 |
*768 방언(사투리) | *768 방언(사투리) | ||
*769 프로방스어 | *769 프로방스어 | ||
1,037번째 줄: | 1,041번째 줄: | ||
! colspan="5" |'''800 문학''' | ! colspan="5" |'''800 문학''' | ||
|- | |- | ||
− | |style="width:20%"|'''800 문학''' ||style="width:20%"|'''810 한국문학''' ||style="width:20%"|'''820 중국문학''' ||style="width:20%"|'''830 일본문학 및 기타 아시아 제문학''' ||style="width:20%"|'''840 영미문학''' | + | | style="width:20%" |'''800 문학'''|| style="width:20%" |'''810 한국문학'''|| style="width:20%" |'''820 중국문학'''|| style="width:20%" |'''830 일본문학 및 기타 아시아 제문학'''|| style="width:20%" |'''840 영미문학''' |
|- | |- | ||
| | | | ||
1,062번째 줄: | 1,066번째 줄: | ||
| | | | ||
− | *821 시 | + | * 821 시 |
*822 희곡 | *822 희곡 | ||
*823 소설 | *823 소설 | ||
1,070번째 줄: | 1,074번째 줄: | ||
*827 풍자 및 유머 | *827 풍자 및 유머 | ||
*828 르포르타주 및 기타 | *828 르포르타주 및 기타 | ||
− | *829 [미사용] | + | * 829 [미사용] |
| | | | ||
*831 시 | *831 시 | ||
1,104번째 줄: | 1,108번째 줄: | ||
*854 수필 | *854 수필 | ||
*855 연설, 웅변 | *855 연설, 웅변 | ||
− | *856 일기, 서간, 기행 | + | * 856 일기, 서간, 기행 |
− | *857 풍자 및 유머 | + | * 857 풍자 및 유머 |
*858 르포르타주 및 기타 | *858 르포르타주 및 기타 | ||
*859 기타 게르만문학 | *859 기타 게르만문학 | ||
1,117번째 줄: | 1,121번째 줄: | ||
*867 풍자 및 유머 | *867 풍자 및 유머 | ||
*868 르포르타주 및 기타 | *868 르포르타주 및 기타 | ||
− | *869 프로방스문학 | + | * 869 프로방스문학 |
| | | | ||
*871 시 | *871 시 | ||
*872 희곡 | *872 희곡 | ||
− | *873 소설 | + | * 873 소설 |
*874 수필 | *874 수필 | ||
*875 연설, 웅변 | *875 연설, 웅변 | ||
1,130번째 줄: | 1,134번째 줄: | ||
| | | | ||
*881 시 | *881 시 | ||
− | *882 희곡 | + | * 882 희곡 |
*883 소설 | *883 소설 | ||
*884 수필 | *884 수필 | ||
*885 연설, 웅변 | *885 연설, 웅변 | ||
− | *886 일기, 서간, 기행 | + | * 886 일기, 서간, 기행 |
*887 풍자 및 유머 | *887 풍자 및 유머 | ||
*888 르포르타주 및 기타 | *888 르포르타주 및 기타 | ||
1,142번째 줄: | 1,146번째 줄: | ||
*892 인도-유럽계문학 | *892 인도-유럽계문학 | ||
*893 아프리카 제문학 | *893 아프리카 제문학 | ||
− | *894 북아메리카 인디언문학 | + | * 894 북아메리카 인디언문학 |
*895 남아메리카 인디언문학 | *895 남아메리카 인디언문학 | ||
*896 오스트로네시아문학 | *896 오스트로네시아문학 | ||
1,154번째 줄: | 1,158번째 줄: | ||
! colspan="5" |'''900 역사''' | ! colspan="5" |'''900 역사''' | ||
|- | |- | ||
− | |style="width:20%"|'''900 역사''' ||style="width:20%"|'''910 아시아''' ||style="width:20%"|'''920 유럽''' ||style="width:20%"|'''930 아프리카''' ||style="width:20%"|'''940 북아메리카''' | + | | style="width:20%" |'''900 역사'''|| style="width:20%" |'''910 아시아'''|| style="width:20%" |'''920 유럽'''|| style="width:20%" |'''930 아프리카'''|| style="width:20%" |'''940 북아메리카''' |
|- | |- | ||
| | | | ||
1,161번째 줄: | 1,165번째 줄: | ||
*903 사전(辭典), 사전(事典) | *903 사전(辭典), 사전(事典) | ||
*904 강연집, 사평 | *904 강연집, 사평 | ||
− | *905 연속간행물 | + | * 905 연속간행물 |
*906 학회, 단체, 기관, 회의 | *906 학회, 단체, 기관, 회의 | ||
*907 지도법, 연구법 및 교육, 교육자료 | *907 지도법, 연구법 및 교육, 교육자료 | ||
1,179번째 줄: | 1,183번째 줄: | ||
*921 고대 그리스(희랍고대사) | *921 고대 그리스(희랍고대사) | ||
*922 고대 로마 | *922 고대 로마 | ||
− | *923 스칸디나비아 | + | * 923 스칸디나비아 |
*924 영국, 아일랜드 | *924 영국, 아일랜드 | ||
*925 독일과 중앙유럽 | *925 독일과 중앙유럽 | ||
1,234번째 줄: | 1,238번째 줄: | ||
*968 대서양제도 | *968 대서양제도 | ||
*969 양극지방 | *969 양극지방 | ||
− | | | + | | |
*971 [미사용] | *971 [미사용] | ||
*972 [미사용] | *972 [미사용] | ||
1,242번째 줄: | 1,246번째 줄: | ||
*976 [미사용] | *976 [미사용] | ||
*977 [미사용] | *977 [미사용] | ||
− | *978 [미사용] | + | * 978 [미사용] |
*979 [미사용] | *979 [미사용] | ||
1,267번째 줄: | 1,271번째 줄: | ||
|} | |} | ||
− | == 같이보기 == | + | ==같이보기== |
− | * [[ | + | *[[:분류:DDC|DDC 색인]] |
− | |||
− | |||
− | |||
==외부링크== | ==외부링크== | ||
+ | *[http://kj-book.co.kr/default/product_view.php?goods_data=aWR4PTg3NyZzdGFydFBhZ2U9MCZsaXN0Tm89MiZ0YWJsZT1jc19nb29kcyZwYXJ0X2lkeD03JnNlYXJjaF9pdGVtPQ==|| 경제서적 한국십진분류법] | ||
+ | *[https://ko.wikipedia.org/wiki/한국십진분류법 위키백과 한국십진분류법] | ||
+ | *[http://bartoc.org/en/node/18570 BARTO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
− | + | [[category:지식조직체계]] | |
− | |||
− | |||
− | |||
− | [[ |
2024년 12월 17일 (화) 09:52 기준 최신판
영문제목 |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
약어 | KDC |
저자 |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
발행기관 | 한국도서관협회 |
발행연도 | 2013년(제6판) |
제공형식 | 온라인(Online) 및 PDF |
KOS유형 | 분류체계 |
BARTOC | https://bartoc.org/en/node/18570 |
KOS 소개[편집 | 원본 편집]
한국십진분류법(韓國十進分類法,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서분류체계이다. 듀이십진분류법(Dewey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DDC)을 비롯한 서구의 분류법을 바탕으로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에서 간행하고 있으며, 한국의 정보환경에 맞도록 주류의 배열이나 조기표의 추가, 본표 항목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모든 지식 분야를 총류(0), 철학(1), 종교(2), 사회과학(3), 자연과학(4), 기술과학(5), 예술(6), 언어(7), 문학(8), 역사(9)와 같이 10개의 주류(主類: section)로 1차적으로 구분한 다음, 각 주류를 다시 10개로 나누어 강목(綱目:division)으로 구분한다. 이 중 총류에는 여러 주제를 포괄하거나 특정 주제로 분류하기 어려운 것들이 속하며, 백과사전, 사전(辭典), 전집, 총서 등이 여기에 분류된다. 또한 KDC에는 표준구분, 지역구분, 국어구분, 언어공통구분, 문학형식구분, 종교공통구분, 전주제구분, 특수주제의 공통구분 내지 세목 등에 조기성을 적용하였다.
KDC의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주류의 배열[편집 | 원본 편집]
한국십진분류법(KDC)는 기본적으로 십진식 분류체계를 따르고 있다. 즉 KDC는 지식의 전 분야를 철학(100), 종교(200), 사회과학(300), 자연과학(400), 기술과학(500), 예술(600), 언어(700), 문학(800), 역사(900)와 같이 9개로 구분하고, 이 9개의 주류 중 어느 주류에도 속하지 않거나 그 전체 또는 여러 개의 주류를 포괄하는 것을 총류(000)라 하여 맨 앞에 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류(제1차구분)순서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듀이십진분류법(Dewey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DDC)을 바탕으로 십진식의 체계를 취하여 배열하고 있다. 그러나 KDC에서는 DDC가 언어와 문학을 분리시키고 있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두 주류를 각각 700과 800에 배정하여 근접시키고, 자연과학과 기술과학, 예술을 각각 한 단계씩 위로 이동시켰다.
또한 KDC는 학문의 의한 분류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는 주제에 의한 분류를 보완하고 있다. KDC에서 기본으로 하고 있는 학문에 의한 분류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의 경우에도 해당주제에 대한 취급방법이나 접근하는 측면에 따라 별도의 학문분야에 분류되는 것을 의미한다.
분류기호의 조직[편집 | 원본 편집]
KDC는 십진식에 따라 지식의 전 분야를 10개의 유(類, class)로 대별하고, 이를 기초로 삼아 점진적으로 전개해 나가는 계층적 분류표이다. 분류기호로는 아라비아숫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1 철학, 2 종교, 3 사회과학, 4 자연과학, 5 기술과학, 6 예술, 7 언어, 8 문학, 9 역사와 같이 9개로 구분하고, 이 9개 주류 중 어느 주류에도 속하지 않거나 그 전체 또는 여러 개 주류를 포괄하는 것을 0 총류(總類)라 하여 맨 앞에 배정하고 있다(다만 실제 분류기호의 경우는 세 자리가 안 될 떄는 세 자리를 채우기 위해 부족한 자리수를 0으로 채우기 된다). 이 10개의 기초구분을 주류(main classes)라 부른다.
이 10개 주류를 2차적으로 10단위에서 다시 각각 10개로 구분하면 모두 100구분이 된다. 이 100구분을 강목(綱目) 또는 강(divisions)이라 한다. 예를 들면, 30 사회과학 총류, 31 통계자료, 32 경제학, 33 사회학, 사회문제, 34 정치학, 35 행정학, 36 법률, 법학, 37 교육학, 38 풍습, 예절, 민속학, 39 국방, 군사학이 각각 강목인 것이다(다만 실제 분류기호의 경우 세 자리가 안 될 때는 세자리를 채우기 위해 부족한 자리수를 0으로 채우게 된다). 또한 이 강목을 100단위에서 주류와 강목에서와 같이 3차적으로 구분하면 1000구분이 된다. 이것을 요목(要目) 또는 목(sections)이라 한다. 요목 이하에서도 필요에 따라 순서대로 총류 아래에서 10개 구분을 할 수 이쓴데 이를 세목(細目:subdivisions)이라 한다.
이와 같이 주류로부터 세목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10구분씩 순서대로 전개하여 번호를 조직해가는 것이 십진식 분류법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3[00] 사회과학 주류(Main classes) 32[0] 경제학 강목(Divisions) 329 재정 요목(Sections) 329.4 조세 세목(Subdivisions) 329.43 직접세 세목(Subdivisions) 329.433 소득세 세목(Subdivisions)
위와 같이 십진식으로 전개된 각 구분은 모두 아라비아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특정한 구분을 표시하는 숫자를 분류기호(class number)라 한다. 개개의 분류기호는 특정학문분야의 특정주제를 의미하고있으므로, 어떤 특정학문 분야의 특정주제를 다룬 자료에 대해서는 어느 것이나 동일한 분류기호가 부여된다. 그러므로 체계적으로 조직된 일련의 분류기호는 곧 주제의 순서를 표시하며, 도서관의 자료는 그 순서에 따라 배가(配架)되는 것이다.
분류기호의 단점[편집 | 원본 편집]
분류기호를 십진식으로 조직한 분류법에서는 구분단위, 즉 구분지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주제의 합리적인 전개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십진식으로 전개된 분류법에서는 9구분의 제한을 받아 분류기호 조직상 소밀의 차이가 심하며, 조밀한 곳에서는 분류기호가 길어져서 복잡하다. 또한 주제를 논리적인 진화순으로 전개하거나 학문의 진화에 따라 새로이 출현하는 주제를 논리적으로 적합한 위치에 삽입하는 일이 곤란한 경우가 많고, 이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빈번히 수정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분류기호의 장점[편집 | 원본 편집]
실용적인 입장에서 보면, 분류기호가 십진식으로 조직되어 있을 경우에는 표가 단순하고 순서를 분명하게 나타내 주며, 계층구조 등의 표현도 용이하다. 아울러 현대 분류법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조기성(助記性)의 적용도 간편하여 이해하고 기억하기 용이하므로, 십진식 분류법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조기성[편집 | 원본 편집]
KDC에서는 표준구분, 국어구분 등과 같이 형식 또는 구분이 같거나 또는 016.51 의학서지와 같이 주제가 같은 것 등에 대하여 공통된 기호를 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쉽게 분류기호의 조직을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일개념이나 동일주제, 동일형식에 대해 동일기호를 부여함으로써 기억을 도와주는 것을 조기성이라 한다. KDC에서 이러한 조기성이 적용된 대표적인 것으로는 표준구분, 지역구분, 국어구분, 언어공통구분, 문학형식구분, 종교공통구분, 전주제구분, 특수주제의 공통구분 내지 세목 등을 들 수 있다.
주기의 설명[편집 | 원본 편집]
학문의 발전과 정보의 증가로 분류항목만 나열하는 분류표로는 정확한 분류를 하기 힘들다. KDC는 이에 대비하여 주요 분류항목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간략한 주를 제시하여 분류자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별법(양자택일의 규정)[편집 | 원본 편집]
특정주제의 자료는 도서관에 따라 KDC의 공식적인 분류방식과 달리 분류하는 것이 그 이용자에게 더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주제의 자료를 도서관의 종별과 이용자층의 성격에 따라 임의로 택일할 수 있는 별법 또는 양자택일의 기호를 모두 분표상에 주기로 제시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부가하고 있다.
상관색인[편집 | 원본 편집]
상관색인은 학문분야에 따라 KDC의 본표와 보조표에 분산되어 있는 관련 주제 및 항목들을 한곳에서 일목요연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KDC 사용법[편집 | 원본 편집]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64년 초판 발행
- 1966년 수정판 발행
- 1980년 제3판 발행
- 1996년 제4판 발행
- 2009년 제5판 발행
- 2013년 제6판 발행
KDC 분류기호 요강목표(6판기준)[편집 | 원본 편집]
(아래의 표는 PC화면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000 총류[편집 | 원본 편집]
000 총류 | ||||
---|---|---|---|---|
000 총류 | 010 도서학, 서지학 | 020 문헌정보학 | 030 백과사전 | 040 강연집, 수필집, 연설문집 |
|
|
|
|
|
050 일반연속간행물 | 060 일반 학회, 단체, 협회, 기관, 연구기관 | 070 신문, 저널리즘 | 080 일반 전집, 총서 | 090 향토자료 |
|
|
|
|
|
100 철학[편집 | 원본 편집]
100 철학 | ||||
---|---|---|---|---|
100 철학 | 110 형이상학 | 120 인식론, 인과론, 인간학 | 130 철학의 체계 | 140 경학 |
|
|
|
|
|
150 동양철학, 동양사상 | 160 서양철학 | 170 논리학 | 180 심리학 | 190 윤리학, 도덕철학 |
|
|
|
|
|
200 종교[편집 | 원본 편집]
200 종교 | ||||
---|---|---|---|---|
200 종교 | 210 비교종교 | 220 불교 | 230 기독교 | 240 도교 |
|
|
|
|
|
250 천도교 | 260 [미사용] | 270 힌두교, 브라만교 | 280 이슬람교(회교) | 290 기타 제종교 |
|
|
|
|
|
300 사회과학[편집 | 원본 편집]
300 사회과학 | ||||
---|---|---|---|---|
300 사회과학 | 310 통계자료 | 320 경제학 | 330 사회학, 사회문제 | 340 정치학 |
|
|
|
|
|
350 행정학 | 360 법률, 법학 | 370 교육학 | 380 풍습, 예절, 민속학 | 390 국방, 군사학 |
|
|
|
|
|
400 자연과학[편집 | 원본 편집]
400 자연과학 | ||||
---|---|---|---|---|
400 자연과학 | 410 수학 | 420 물리학 | 430 화학 | 440 천문학 |
|
|
|
|
|
450 지학 | 460 광물학 | 470 생명과학 | 480 식물학 | 490 동물학 |
|
|
|
|
|
500 기술과학[편집 | 원본 편집]
500 기술과학 | ||||
---|---|---|---|---|
500 기술과학 | 510 의학 | 520 농업, 농학 | 530 공학, 공업일반, 토목공학, 환경공학 | 540 건축, 건축학 |
|
|
|
|
|
550 기계공학 | 560 전기공학, 통신공학, 전자공학 | 570 화학공학 | 580 제조업 | 590 생활과학 |
|
|
|
|
|
600 예술[편집 | 원본 편집]
600 예술 | ||||
---|---|---|---|---|
600 예술 | 610 [미사용] | 620 조각, 조형미술 | 630 공예 | 640 서예 |
|
|
|
|
|
650 회화, 도화, 디자인 | 660 사진예술 | 670 음악 | 680 공연예술, 매체예술 | 690 오락, 스포트 |
|
|
|
|
|
700 언어[편집 | 원본 편집]
700 언어 | ||||
---|---|---|---|---|
700 언어 | 710 한국어 | 720 중국어 | 730 일본어 및 기타 아시아 제어 | 740 영어 |
|
|
|
|
|
750 독일어 | 760 프랑스어 | 770 스페인어 및 포르투갈어 | 780 이탈리아어 | 790 기타 제어 |
|
|
|
|
|
800 문학[편집 | 원본 편집]
800 문학 | ||||
---|---|---|---|---|
800 문학 | 810 한국문학 | 820 중국문학 | 830 일본문학 및 기타 아시아 제문학 | 840 영미문학 |
|
|
|
|
|
850 독일문학 | 860 프랑스 문학 | 870 스페인 및 포르투갈 문학 | 880 이탈리아 문학 | 890 기타 제문학 |
|
|
|
|
|
900 역사[편집 | 원본 편집]
900 역사 | ||||
---|---|---|---|---|
900 역사 | 910 아시아 | 920 유럽 | 930 아프리카 | 940 북아메리카 |
|
|
|
|
|
950 남아메리카 | 960 오세아니아, 양극지방 | 970 [미사용] | 980 지리 | 990 전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