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무역분류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한국표준무역분류''' (Standard Korean Trade Classification, '''SKTC''')는 대외무역과 관련된 통계자료를 일관적이고 정확하게 작성․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무역 거래 대상 상품을 일정한 기준과 원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한국표준무역분류는 1964년 제정된 이래 국제표준무역분류의 개정내용 및 국내 무역환경 변화 등을 반영하기 위해 그동안 10여 차례의 개정을 통해 보완․발전되어 왔으며, 이번 11차 개정은 UN의 제4차 국제표준무역분류의 개정 내용을 반영하였고 국내 활용실태를 감안하여 기존의 8단계에서 5단계로 분류체계를 간소화하고 부적합한 무역용어를 정비한 것이 특징이다.
+
테스트 페이지
  
 +
 +
'''한국표준무역분류''' (Standard Korean Trade Classification, '''SKTC''')는 대외무역과 관련된 통계자료를 일관적이고 정확하게 작성․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무역 거래 대상 상품을 일정한 기준과 원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입니다. 한국표준무역분류는 1964년 제정된 이래 국제표준무역분류의 개정내용 및 국내 무역환경 변화 등을 반영하기 위해 그동안 10여 차례의 개정을 통해 보완․발전되어 왔습니다. 이번 11차 개정은 UN의 제4차 국제표준무역분류의 개정 내용을 반영하였고 국내 활용실태를 감안하여 기존의 8단계에서 5단계로 분류체계를 간소화하고 부적합한 무역용어를 정비한 것이 특징입니다.
 +
 +
-----
 +
===KOS 메타정보===
 +
{| cellpadding="5" cellspacing="0" border="2" width="45%"
 +
! 구분 || 내용
 +
|-
 +
| 한국어(Korean)
 +
| 한국표준무역분류 
 +
|-
 +
| 영어(English)
 +
| Standard Korean Trade Classification, '''SKTC'''
 +
|-
 +
| Year of Creation
 +
| 1967
 +
|-
 +
| Year of Current
 +
| 2009(제11차 개정)
 +
|-
 +
| Author
 +
| 통계청
 +
|-
 +
| EuroVoc
 +
| international trade
 +
|-
 +
| DDC
 +
| 382 International commerce (Foreign trade)
 +
|-
 +
| Format
 +
| Online, PDF, Printed
 +
|-
 +
| KOS Type
 +
| Classification Scheme
 +
|-
 +
| VIAF
 +
| Statistics Korea[http://viaf.org/viaf/132970081]
 +
|-
 +
| Location
 +
| (35208)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둔산동, 정부청사3동)
 +
|-
 +
| Contact
 +
| 042-481-4115
 +
|-
 +
| License
 +
| Unkown
 +
|-
 +
|}
 
=== 한국표준무역분류의 목적 및 연혁 ===
 
=== 한국표준무역분류의 목적 및 연혁 ===
 
+
----
 
==== 목적 ====
 
==== 목적 ====
 
한국표준무역분류는 대외무역 대상이 되는 상품에 관련된 자료의 수집, 분석, 비교 등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동 상품을 그 특성과 생산에 투입된 재료의  특성, 생산단계 등의 일정한 기준과 원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것이다.
 
한국표준무역분류는 대외무역 대상이 되는 상품에 관련된 자료의 수집, 분석, 비교 등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동 상품을 그 특성과 생산에 투입된 재료의  특성, 생산단계 등의 일정한 기준과 원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것이다.
67번째 줄: 115번째 줄:
  
 
* 동분류의 5단위 분류기호 및 분류내용은 SITC의 분류항목과 일치한다. 분류기준은 원칙적으로 원재료, 중간제품, 완제품 등으로 분류하나 산업원천별, 공정단계별 재료별 상품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사항을 고려하여 세분하였다.
 
* 동분류의 5단위 분류기호 및 분류내용은 SITC의 분류항목과 일치한다. 분류기준은 원칙적으로 원재료, 중간제품, 완제품 등으로 분류하나 산업원천별, 공정단계별 재료별 상품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사항을 고려하여 세분하였다.
# 상품의 특성과 제품생산에 투입된 재료의 특성
+
** 상품의 특성과 제품생산에 투입된 재료의 특성
# 생산단계
+
** 생산단계
# 상거래 관례와 제품의 용도
+
** 상거래 관례와 제품의 용도
# 무역에서 차지하는 상품의 중요도
+
** 무역에서 차지하는 상품의 중요도
# 생산통계와의 연계
+
** 생산통계와의 연계
  
 
* 분류체계는 10진 분류법에 따랐다. 기타 항목은 "9"를 사용하였고, "0"은 더 이상 세분되지 않음을 표시한다.  SITC에서 결번을 둔 경우에는 한국표준무역분류에도 결번을 두었다.
 
* 분류체계는 10진 분류법에 따랐다. 기타 항목은 "9"를 사용하였고, "0"은 더 이상 세분되지 않음을 표시한다.  SITC에서 결번을 둔 경우에는 한국표준무역분류에도 결번을 두었다.
  
 
* 품목에 관한 해석은 HS품목해설서에 의한다.
 
* 품목에 관한 해석은 HS품목해설서에 의한다.
 +
----
 +
[[Category:통계분류포털]]
  
=== 한국표준무역분류 ===
+
'''출처''' 통계분류포털 사이트 [http://kssc.kostat.go.kr/ksscNew_web/kssc/main/main.do?gubun=1#]
한국표준무역분류는 10개 대분류, 67개 중분류 및 262개의 소분류, 1,023개의 세분류, 최종 단위인 세세분류 2,970개로 구성되어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kssc.kostat.go.kr 통계분류포털]
 
* BRATOC URL http://bartoc.org/en/node/20067
 
 
 
== 출처 ==
 
 
 
[[Category: 통계분류포털]]
 
[[Category: 지식구조체계]]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 LOD: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