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직업분류

KOS, 우리 모두의 메타 지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표준직업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KSCO)는 직업관련 통계를 작성하는 모든 기관이 통일적으로 사용하여 통계자료의 일관성과 비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종 직업정보에 관한 국내통계를 국제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ILO의 국제표준직업분류(ISCO)를 기초로 작성한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63년 제정
  • 1966년 제1차 개정
  • 1970년 제2차 개정
  • 1974년 제3차 개정
  • 1992년 제4차 개정
  • 2000년 제5차 개정
  • 2007년 제6차 개정

직업분류의 분류원칙[편집 | 원본 편집]

  • 포괄적인 업무에 대한 분류 원칙
    • 직업분류는 국내외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업무의 결합상태에 근거하여 직업 및 직업군을 결정
    • 직무의 범위가 분류에 명시된 내용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분류원칙을 적용

① 주된 직무 우선 원칙, ② 최상급 직능수준 우선 원칙, ③ 생산업무 우선 원칙

  • 다수 직업 종사자의 분류원칙
    • 한 사람이 전혀 상관성이 없는 두 가지 이상의 직업에 종사할 경우에 그 직업을 결정하는 일반적 원칙

① 취업시간 우선의 원칙, ② 수입 우선의 원칙, ③ 조사 시 최근의 직업 원칙 순으로 적용

분류구조 및 분류체계[편집 | 원본 편집]

  • 직업분류는 대분류(1자리 숫자 또는 영문자), 중분류(2자리 숫자), 소분류(3자리 숫자), 세분류(4자리 숫자). 세세분류(5자리 숫자)의 5단계로 구성
  • 제6차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 고시 제2007-3호)는 각 항목별 대분류 10개, 중분류 52개 소분류 149개, 세분류 426개, 세세분류 1,206개로 구성
  • 제7차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 고시 제2017-191호)는 각 항목별 대분류 10개, 중분류 52개 소분류 156개, 세분류 450개, 세세분류 1,231개로 구성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출처[편집 | 원본 편집]

</references>